공무원업무시스템 '온나라' 해킹…행안부, 두 달 만에 '뒷북' 해명

구자형 기자
입력
수정 2025.10.17. 오후 9:56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두 달 전 해외의 한 해킹전문 매체에서 중앙부처의 공무원업무시스템인 '온나라'가 해킹을 당한 흔적이 있다는 보고서를 만들었죠. 행정안전부가 이제서야 뒤늦게 해킹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구자형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8월, 미국의 해킹전문 매체 '프랙'이 공개한 해킹 보고서입니다.

첫 장을 넘기자마자 해커가 우리 외교부와 정부 내부 자료망에 접근했다는 설명이 나옵니다.

접근자로 지목된 해커는 북한의 해킹 공작부대 '김수키'입니다 지난해 12월, 국내 국방 전문가들에게 계엄 문건을 빙자한 해킹메일을 보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보고서가 공개된 이후에도 우리 정부는 별다른 설명이나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서 의혹만 키웠습니다.

두 달이 지나서야 행정안전부가 해킹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이용석 /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
"7월 중순 경 국가정보원으로부터 외부 인터넷 PC에서 정부원격근무시스템인 'G-VPN'을 통해서 업무망인 온나라 시스템에 접근한 정황을 확인하였습니다."

'온나라'는 중앙부처와 지자체에서 문서 결재와 영상 회의 등에 쓰이는 공무원 업무 시스템입니다.

행안부는 공무원 650명의 전자 인증서 자료가 해킹됐고, 이 가운데 12명의 자료는 비밀번호까지 유출됐다고 밝혔습니다.

행안부 관계자는 외부 인터넷과 연결된 PC에서 사용자 부주의로 해킹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전자서명과 ARS 인증 등 보안을 강화해 추가 피해를 막았다면서 발표가 늦어진 이유에 대해서는 방지 대책까지 함께 담느라 시간이 걸렸다고 해명했습니다.

국가정보원은 해킹으로 인한 실제 피해가 있었는지 조사하고 있습니다.

TV조선 구자형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