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진 대학생 계좌서 수천만 원 인출…"통장 2천만 원에 사서 자금 세탁"

구자형 기자
입력
수정 2025.10.14. 오후 10:46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캄보디아 감금 피해 대응을 위해 합동 대응팀을 현지에 파견합니다. 고문을 받고 숨진 대학생의 통장에선 수천만 원이 인출된 걸로 파악됐습니다. 이런 한국인 명의의 통장은 현지 범죄에 번번이 이용되고 있는데, 통장 한 개당 2000만 원에 거래된다고 합니다.

먼저, 구자형 기자입니다.

[리포트]
충남의 한 대학에 다니던 박 모 씨는 동급생 홍 모씨의 제안을 받고 지난 7월 중순 캄보디아로 출국했습니다.

홍 씨는 현지에 가면 통장을 거액에 팔 수 있다는 말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캄보디아 현지 교민은 범죄단체가 한국인을 유인하는 전형적인 수법이라고 말합니다.

박현옥 / 전 캄보디아 한인회장
"(통장 거래가가) 2000만 원인데 1000만 원을 통장 주인 주고 (모집책들이) 1000만 원을 나눠 쓰는 것 같더라고요."

실제 경찰은 박 씨 계좌에 입금됐던 수천만 원의 돈이 국내에서 인출된 정황을 포착했습니다.

현금 인출에 관여한 사람은 최소 3명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경찰은 이들이 박 씨 계좌를 대포통장으로 이용하면서 범죄자금을 세탁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 씨의 휴대전화도 범죄에 이용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캄보디아 탈출 한국인
"핸드폰 아마 다 뺏어서 걔네 보이스피싱 용으로 쓴다든지 그런 경우가 많을 거예요."

범죄 조직들은 납치 감금한 한국인들을 도박 등으로 빚을 지게 한 뒤 보이스피싱이나 로맨스스캠 등을 강요하는데, 이에 가담한 일부는 현재 교도소에 수감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는 한국인 80여 명의 안전이 확인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외교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한 합동 대응팀은 내일 캄보디아로 출국해 구금된 한국인 송환과 경찰관 파견 문제 등을 논의합니다.

TV조선 구자형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