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 시해된 곤녕합서 윤석열과 10분간 머물러
김교흥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실이 국가유산청에 확인한 내용에 따르면,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부부 '국가유산 사유화' 정황이 추가로 밝혀졌습니다. 국가유산청은 2023년 3월 5일 윤석열 대통령 내외 2명이 경복궁 관람을 위해 '갑작스러운 방문'을 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확인 결과, 당시 동행자는 김건희씨와 경호관 1명이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가유산청 등 설명을 종합하면, 앞서 같은날 윤석열 김건희 부부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수장고가 다 차서 이를 살펴보기 위한 점검 목적으로 방문했습니다. 관리 과장이 열쇠를 가지러 가야 된다고 해 30분 간 시간이 비게 됐고 바로 옆에 경복궁이 있으니 가자고 해 경복궁에 갑자기 가게 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당시 국립고궁박물관 측에서 "대통령 내외가 넘어간다"고 경복궁 방호과에 통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씨가 경복궁에 들어간 시간은 일반인들 관람이 마감됐던 오후 5시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은 경복궁-근정전-경회루2층-향원정-건청궁 순으로 이동했습니다.
특히 건청궁은 명성황후가 생활했던 곳으로 보존을 위해 평소 공개되지 않고, 일반인 출입이 통제되는 구역입니다. 김교흥 위원장실이 국가유산청에 확인한 내용에 의하면 당시 건청궁 내에 있는 곤녕합의 문도 닫혀 있었지만 윤 전 대통령 부부가 "문을 열라"고 해서 들어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명성황후의 침실이자 시해 장소였던 '곤녕합'에는 윤 전 대통령과 김건희 씨 2명만 들어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경호관과 직원 없이 이들은 10분 동안 머물렀던 것으로 확인된 겁니다. 국가 유산을 사유화했던 정황이 속속 드러나는 셈입니다.
앞서 2023년 9월 12일 김건희 씨와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 경복궁에 방문했을 때 상황도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당시 김 씨와 이 전 위원장은 근정전과 경회루 2층, 흥복전을 들렀습니다. 김 씨는 근정전에 있는 '왕의 의자' 용상에 앉은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습니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김 씨와 이 전 위원장이 흥복전에서 고궁박물관 주차장까지 약 500m가량 카트를 타고 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트 1대당 2인승으로, 총 4대를 이용했습니다. 심지어 경복궁에 4대의 카트가 있었는데도 낡았다는 이유로, 창덕궁에서 2대를 빌려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교흥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은 "왕의 자리에 앉았던 김건희가 왕비의 침실까지 들어갔다"며 "윤석열·김건희 부부의 '국보 농단' 에 대해 특검은 한 점 의혹 없이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