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측 "해당 임원의 개인적 판단…훼손 없이 PC 보관중"
[앵커]
12.3 비상계엄 두 달 전, 평양에 무인기가 떨어졌습니다. 계엄의 명분이 아니냐는 의혹부터 이 무인기를 납품한 과정까지 특검이 수사 중입니다. JTBC 취재 결과 이 무인기를 납품한 한국항공우주산업이 증거 인멸을 시도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그 시점은 윤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직후였습니다.
배승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해 10월 평양에 떨어진 무인기는 한국항공우주산업 KAI가 외주업체에 제작을 맡긴 뒤 국방과학연구소에 납품했습니다.
해당 무인기는 윤석열 전 대통령 지시로 실적이 부족한 특정 기업으로부터 우회 계약을 통해 납품됐단 의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비상계엄 명분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북한에 보내졌다는 의혹이 제기돼 특검 수사선상에 올라있습니다.
그런데 윤 전 대통령이 다시 구속되고 바로 다음날인 지난 7월 11일 KAI 내부에서 증거인멸을 시도한 정황이 JTBC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KAI 한 팀장급 직원이 직속 상관의 PC를 정리해달라고 관련 부서에 요청한 겁니다.
[KAI 헬기사업팀 A팀장-운영팀 담당자/지난 7월 11일 통화 : 상무님 PC를 좀 정리해야 되는 것 같습니다.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것들이 좀 있는 것 같아요.]
해당 임원은 무인기 사업을 주관했던 인물로 정리를 요청한 PC엔 무인기 관련 자료가 담겨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문인지 시스템 담당 직원도 '증거 인멸'을 우려하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습니다.
[KAI 헬기사업팀 A팀장-운영팀 담당자/지난 7월 11일 통화 : 이거 손대면 안 될 것 같은데 제 생각에는 그거를 잘못하면 증거인멸 이런 상황까지…]
KAI측은 당시 무인기 관련 수사에 압박을 받은 해당 임원의 개인적 판단일뿐 회사와 관련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그러면서 해당 임원의 PC는 훼손 없이 보관하고 있다고 전해왔습니다.
평양에 투입된 무인기 사업은 김용현 전 국방장관의 친구이자 윤석열 대선 캠프 출신으로 낙하산 논란이 일었던 강구영 전 KAI사장 시절 진행됐습니다.
[영상취재 김영철 영상편집 김동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