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정전 가고 용상 올라보라고 이배용이 권유"
[앵커]
2023년 경복궁이 문을 닫은 날 김건희 씨가 '국보'인 경회루 2층에 오른 사진이 어제 공개됐습니다. 그런데 이 날 근정전에 있는 '왕의 의자' 다시 말해 '용상'에도 앉았던 사실이 오늘 국정감사에서 드러났습니다.
함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경복궁 경회루 2층에 허리에 손을 짚은 민소매 원피스 차림의 김건희 씨, 분홍 정장을 입은 이배용 당시 국가교육위원장이 나란히 서 있습니다.
경복궁 휴관일인 2023년 9월 12일 사진입니다.
김씨 일행은 이날 2시간가량 궁을 둘러봤는데, 평소 출입이 제한되는 근정전 안에 들어가 왕의 의자인 용상에 앉은 사실이 추가로 드러났습니다.
[양문석/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 : 의자에는 왜 앉았어요? 김건희가 왜 용상에 앉았냐고 근정전에서. 왜 앉았어요? 일개 아녀자가…]
[정용석/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 : 저도 정확하게는 기억이 나지는 않습니다.]
오늘(22일) 문체위 국감에 나온 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 당시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실 선임행정관으로 김씨의 경복궁 일정에 동행했습니다.
말을 흐리던 정 사장은 질타를 받고서야 마지못해 답을 내놨습니다.
[김교흥/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 대한민국 국민 중에 그 누구도 그 용상에 앉아 본 사람이 없어요. 그렇게 실실 웃어가면서 이야기할 거예요? 그 중요한 일을?]
[정용석/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 : 본인이 가서 앉으셨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계속 이동 중이었기 때문에 만약에 앉아 계셨다 하더라도…1~2분 정도.]
김씨가 국가를 모독했다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조계원/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 : 용상이 뭐 누구 소파입니까? 국가 유산을 자신을 과시하는 용도로, 장식용으로 소파처럼 취급하고 있는데…]
이기헌 의원은 정 사장에 대한 서면 질의를 통해, 김씨에게 근정전에 들어가 용상에 올라보라 권유한 게 이배용 전 위원장이라는 사실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전 위원장은 김씨에게 '금거북이'를 제공한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문체위는 이 전 위원장과 최응천 전 국가유산청장을 오는 29일 종합감사 증인으로 추가 채택했습니다.
[화면출저 유튜브 '주기자 라이브']
[영상취재 박재현 이지수 영상편집 지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