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 넘은 국정자원 화재 복구율…혈액관리 화장터 등 정상화

최인선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됐던 정부 전산시스템 복구율이 절반을 넘어 52.6%가 됐습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오늘(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전체 정부 행정 정보 시스템 복구율이 50%를 넘어서며 복구 상황이 점진적 회복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중대본에 따르면 20일 오전 9시 기준 정부 행정 정보 시스템 총 709개 중 373개가 복구돼 전체의 52.6%가 정상화됐습니다.

국민의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1·2등급 시스템의 복구율은 각각 77.5%, 64.7%입니다.

윤호중 행안부장관 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보건복지부의 '장기조직혈액종합관리시스템' 복구로 장기 이식 환자의 수술 일정과 혈액 공급 관리가 정상화됐다"며 "21일부터는 'e하늘장사정보시스템'이 복구돼 온라인 화장장 예약 신청도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재난 현장 대응과 긴급 구조에 이용하는 소방청의 '구조·생활 안전활동정보시스템'도 복구됐습니다.

윤 본부장은 "데이터 복원 기반이 확보된 만큼 시스템 복구가 큰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