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입찰 담합' 효성중공업 등 압수수색…검찰 "전기료 인상 초래"

김태인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검찰 자료사진.〈사진=연합뉴스〉
검찰이 한국전력공사가 발주한 설비장치 입찰에서 수년간 담합한 혐의를 받는 기업들에 대한 강제수사에 나섰습니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는 오늘(15일) 오전부터 효성중공업, LS일렉트릭, HD현대일렉트릭, 일진전기 등 전력기기 제조·생산업체 6곳과 1개 조합 사무실, 사건 관련자들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업체는 2015~2022년 한전이 가스절연개폐장치(GIS) 구매를 위해 실시한 5600억원 규모의 일반경쟁·지역제한 입찰에서 사전에 물량을 배분하기로 합의한 뒤 차례로 낙찰받은 혐의를 받습니다.

GIS는 발전소나 변전소에 설치돼 과도한 전류를 신속하게 차단해 전력설비를 보호하는 개폐장치입니다.

검찰은 이들 업체의 담합 행위로 GIS 낙찰가가 상승해 한전의 설비 투자비가 오르면서 전기료도 인상돼 결국 소비자가 피해를 본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앞서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들 업체를 포함해 10개 사업자를 상대로 과징금 391억원을 부과하고 6개 사업자를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업체들은 공정위 조치에 맞대응하며 행정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