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6일 공개한 고위공직자 재산등록사항에 따르면, 대통령실 고위 공직자 31명 중 11명은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에 아파트 등 부동산을 갖고 있었습니다. 12명은 다주택자이거나 상가·사무실을 포함해 건물을 2건 이상 갖고 있었습니다. 이번에 재산 내역이 공개된 31명은 지난 6월 2일부터 7월 2일 사이에 임용된 이들로, 평균 22억2000만원의 재산을 보유한 거로 집계됐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대통령실 고위공직자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김현지 총무비서관도 포함됐습니다. 김 비서관은 총 11억83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습니다. 이 중엔 주택 청약을 통해 매입한 경기도 성남시 대장동 아파트(7억5000만원 상당)도 포함됐습니다. 배우자 명의로 분당 야탑동에 3억1500만원짜리 사무실과 충북 청주시에 1억4800만원짜리 아파트도 갖고 있었습니다. 김 비서관과 함께 '성남 라인'으로 꼽히는 김남준 1부속실장은 4억1300여만원의 재산을 신고했습니다.
대통령실 참모 중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건 김상호 보도지원비서관(구 춘추관장)이었습니다. 김 비서관은 60억7800여만원을 보유했다고 신고했습니다. 배우자와 공동명의로 서울 강남구 대치동 소재 다세대주택 6채, 서울 광진구 구의동 아파트 1채 등 총 75억원의 부동산을 보유했습니다. 배우자와 자녀 셋은 총 1억6300만원 상당의 가상자산도 보유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그다음으로는 문진영 사회수석 55억3100여만원, 이태형 민정비서관 55억3000여만원, 최성아 해외언론비서관 47억7800여만원, 봉욱 민정수석 43억6200여만원 순이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과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등의 재산은 지난 3월 국회의원 정기 재산 공개 대상에 포함돼 이번 재산 공개에서는 제외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