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팔 갈등 발단 '벨푸어 선언'했던 영국도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이스라엘 "테러에 보상" 강한 반발

백민경 기자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캐나다, 호주, 영국, 포르투갈 등 네 국가가 팔레스타인을 정식 국가로 승인했습니다. G7 국가가 포함된 건 처음입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현지시간 21일 가장 먼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한다는 성명을 내고 "'두 국가 해법' 가능성을 지속시키기 위한 국제적 공조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평화로운 공존을 추구하는 것"이라며 "테러리즘을 정당화하거나 보상하는 게 아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두 국가 해법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각각 독립된 두 개의 국가로 인정해 평화롭게 공존하게 한다는 발상입니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역시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며 "하마스에 미래도, 정부 내 역할도, 안보에서의 역할도 없다는 의미"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또 하마스에 부과할 추가 제재안을 고민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193개 유엔 회원국 중 팔레스타인을 주권 국가로 인정한 나라는 151개국으로 늘었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오랜 싸움의 발단이 된 '벨푸어 선언'을 한 영국까지 팔레스타인을 주권국으로 인정하기로 한 점이 특히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벨푸어 선언'은 2차 세계대전 중이던 1917년 영국이 오스만 제국과 전쟁 중에 한 선언입니다.

당시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전 세계 유대인들의 지지를 기대한 영국은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인을 위한 민족적 고향 수립을 지지하고 노력한다'고 약속한 바 있습니다.

영국의 이번 결정에 대해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는 "영국이 팔레스타인을 독립국가로 인정한 것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이스라엘은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이스라엘 총리]
"10월 7일 학살 이후에도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는 지도자들에게 분명한 메시지를 전합니다. 그들에게 상을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팔레스타인이 국가로 성립하는)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가자지구 완전 점령 작전을 실행에 옮기고 있는 네타냐후 총리는 이달 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이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