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이 우리시간으로 오늘(16일) 오후 1시부터 일본산 자동차의 관세를 15%로 낮춥니다. 한국산 자동차의 관세는 여전히 25%. 경쟁력에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습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마무리 협상을 위해 오늘 미국에 도착했는데, "일희일비하지 않겠다"며 신중한 접근을 강조했습니다.
워싱턴 정강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현지시간 15일 오전 미국에 도착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세밀한 접근을 강조했습니다.
[여한구/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 악마는 디테일에 있는 것이고, 지금 이제 디테일 가지고 지금 하여튼 치열하게 협상을 하는 중이다 이렇게 보시면 되고…]
한미 양국은 앞서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시행하는 등 큰 틀에서 합의했지만, 투자 방식과 이익 배분 등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한 상탭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일본산 자동차의 대미 관세는 현지시간 내일 16일부터 15%로 낮아집니다.
여전히 25% 관세가 적용되는 한국산 자동차는 경쟁력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한국을 향해 노골적인 압박을 가하는 중입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 (현지시간 12일) : 한국은 협정을 수용하거나 (고율) 관세를 내야 합니다. 흑백은 분명합니다. 관세를 내든가 협정을 수용하든가 둘 중 하나입니다.]
러트닉 장관은 사실상 일본이 합의한 협정을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식으로도 압박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 (현지시간 12일) : 이제 한국은 일본을 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유연함은 없습니다. 일본은 계약서에 서명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협상이 난항을 겪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합리적인 결과가 중요하다"며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여한구/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 일희일비하기보다 일단 우리는 국익에 최대한 부합하게 합리적인 그런 협상 결과를 만들어야 되는 그런 가장 중요한 과제가 있기 때문에…]
여 본부장은 통화 스와프 등 세부 조율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지만, 우리 정부는 미국 측과 최종 타결을 위해 실무·고위급 협상을 이어간다는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문진욱 영상편집 이화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