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서명했다"…'협정 또는 25% 관세' 양자택일 압박

정강현 기자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익 안 되는 사인 왜 하나" 이 대통령 발언 뒤
"둘 중 하나 택해야" 러트닉 미 상무장관 '경고장'

[앵커]

우리 국민들이 귀국한 오늘 미국은 '관세 카드'를 꺼내며 강경한 태도로 돌아섰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어제 기자회견에서 "불합리한 서명은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상무장관은 "일본처럼 합의하든지, 고율 관세를 내든지 택일하라"고 선택지를 내밀었습니다.

워싱턴 정강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 신중하게 임하겠단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

[좋으면 사인해야 되는데. 우리가 이익되지 않는 사인을 왜 합니까? 최소한 합리적인 사인을 하도록 노력해야 되겠죠. 사인 못 했다고 비난하진 마십시오. 혹시, 여러분.]

트럼프 행정부는 이 대통령 발언에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하루 만에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강한 톤으로 경고장을 내밀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 ('CNBC' 인터뷰) : 한국은 협정을 수용하거나 (고율) 관세를 내야 합니다. 흑백은 분명합니다. 관세를 내든가 협정을 수용하든가 둘 중 하나입니다.]

협정을 수용할 수 없다면 25% 고율 관세를 내라는 겁니다.

러트닉 장관은 사실상 일본이 합의한 협정을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식으로도 압박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 ('CNBC' 인터뷰) : 이제 한국은 일본을 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유연함은 없습니다. 일본은 계약서에 서명했습니다.]

앞서 일본은 미국이 지정한 투자처에 총 5500억 달러 규모의 현금을 내고 투자금을 회수할 때까지는 5대 5, 그 이후부턴 미국이 수익 90%를 가져가는 방식에 합의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결정한 우리 정부는 이 같은 일본식 투자 방식엔 동의하기 어렵단 입장입니다.

정부 당국자는 "한일 간 경제 규모 격차를 강조하면서 미국 정부의 유연한 대응을 설득할 방침"이라고 전했습니다.

관세 협상 환경이 한층 더 험난해지는 가운데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러트닉 상무장관의 자택이 있는 뉴욕에서 추가 협상을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화면출처 유튜브 'CNBCtelevision']
[영상취재 문진욱 영상편집 강경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