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올해 초,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이던 직무정지 상태의 대통령이 대통령실 참모들을 여러 차례 접견했습니다. JTBC가 접견 내용을 확인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불법 계엄으로 직무가 정지된 대통령의 불법적 '감방 통치'나 다름 없어 보입니다. 국익이 달린 문제를 정확한 정보도 없이 구치소에서 지휘한 겁니다. 외교, 안보, 의료문제, 여론까지 가리지 않았습니다. 일례로 미국과 최상목 대행의 대화 추진에 대해 "대통령실이 직통으로 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먼저, 함민정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31일 오전 서울구치소에서 약 25분 간 당시 대통령실 핵심 참모들을 접견했습니다.
정진석 비서실장, 신원식 안보실장, 홍철호 정무수석, 김주현 민정수석, 강의구 부속실장 등입니다.
JTBC 취재 결과, 이 자리에서 신원식 실장은 윤 전 대통령에게 "미국 쪽에서 계획을 빠르게 잡아 권한대행과 대화를 추진하겠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당시 권한대행은 최상목 경제부총리였습니다.
1월 20일 트럼프 2기가 출범한 직후, 최 부총리가 "이른 시일 내에 통화 추진" 계획을 밝혔지만, 좀처럼 성사가 안되고 시간이 흐르던 시기였습니다.
보고를 받은 윤 전 대통령은 "대통령실하고 백악관하고 직통으로 해야 하는 것"이라며 '안보실'을 언급했습니다.
안보실이 "군사 외교만 하는 곳이 아니"라는 겁니다.
실제 이 접견 엿새 뒤인 2월 6일 신 실장은 마이크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전화통화를 하고, 3월에는 미국에도 다녀왔습니다.
또 다른 접견 때 발언도 확인해봤습니다.
지난 1월 24일 김정환 수행실장과의 접견에서 윤 전 대통령은 "전공의 파업 때문에 의료는 괜찮은지" 묻습니다.
김 실장은 "전공의들이 돌아오고 있다"고 했고, 윤 전 대통령은 이 상황이 이어지면 "겨울에 나이 든 분들은 곤란하다"고 답합니다.
설을 앞둔 상황, 윤 전 대통령은 '야채 가격 관리'도 주문하고, 김 실장은 "최상목 대행이 물가관리 잘하고 있답니다"라고 답했습니다.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통과된 순간, 윤 전 대통령의 직무와 권한은 정지됐습니다.
참모들로부터 보고를 받고 지시로 해석될 수 있는 얘기를 하는 것 자체가 헌법을 위반한 거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영상취재 박재현 신승규 영상편집 박선호 취재지원 진수민 남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