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인재' 정황…불법 하도급업체가 공사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부른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수사 중인 경찰이 불법 하도급 업체가 공사를 진행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현장에 투입된 작업자들은 배터리 이설 경험이 전무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김경인 기자입니다.
[기자]
무정전 전원장치, 즉 UPS용 리튬이온배터리를 이전하던 중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경찰은 배터리 이전 작업이 하청의 재하청 구조로 진행된 사실을 확인하고 불법 하도급 혐의에 대해 수사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이전 작업은 당초 전기 관련 업체 A사 등 두 곳이 수주했습니다.
A사는 작업을 하도급 업체로 넘겼고, 하도급 업체는 또다시 다른 두 업체에 재하도급을 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수주 업체와 하도급 업체 등 5곳은 모두 UPS 시스템 이설 작업 경험이 전무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조대현 / 대전경찰청 형사기동대장> "전기공사업법에 따르면 하도급이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습니다. 이번 공사 같은 경우는 그런 부분을 완전히 무시하고…"
앞서 경찰은 작업자들이 리튬배터리 분리 시 충전율을 30% 이하로 낮춰야 한다는 지침을 지키지 않은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최초 발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배터리 충전율은 80% 수준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작업자들은 절연 장비를 사용하지 않았고, 전동드릴까지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앞서 경찰은 작업 당시 주 전원은 차단했지만, 부속 전원은 차단하지 않았다는 진술도 확보했습니다.
경찰은 현재 국정자원 관계자 등 29명을 참고인으로 조사했습니다.
이 가운데 국정자원 관계자와 감리업체 직원, 공사 업체 작업자 등 5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해 조사 중입니다.
수사 과정에서 입건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화재 원인 규명까지는 시일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마비됐던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709개 중 441개가 22일 정오를 기준으로 정상화됐습니다.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영상취재 임재균]
[영상편집 이예림]
[뉴스리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무정전_전원장치 #UPS #화재 #불법_하도급 #행정정보시스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Copyright ⓒ 연합뉴스TV.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연합뉴스TV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3
연합뉴스TV 헤드라인
더보기
연합뉴스TV 랭킹 뉴스
오후 10시~11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