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인재' 정황…불법 하도급업체가 공사

김경인 기자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부른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수사 중인 경찰이 불법 하도급 업체가 공사를 진행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현장에 투입된 작업자들은 배터리 이설 경험이 전무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김경인 기자입니다.

[기자]

무정전 전원장치, 즉 UPS용 리튬이온배터리를 이전하던 중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경찰은 배터리 이전 작업이 하청의 재하청 구조로 진행된 사실을 확인하고 불법 하도급 혐의에 대해 수사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이전 작업은 당초 전기 관련 업체 A사 등 두 곳이 수주했습니다.

A사는 작업을 하도급 업체로 넘겼고, 하도급 업체는 또다시 다른 두 업체에 재하도급을 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수주 업체와 하도급 업체 등 5곳은 모두 UPS 시스템 이설 작업 경험이 전무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조대현 / 대전경찰청 형사기동대장> "전기공사업법에 따르면 하도급이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습니다. 이번 공사 같은 경우는 그런 부분을 완전히 무시하고…"

앞서 경찰은 작업자들이 리튬배터리 분리 시 충전율을 30% 이하로 낮춰야 한다는 지침을 지키지 않은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최초 발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배터리 충전율은 80% 수준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작업자들은 절연 장비를 사용하지 않았고, 전동드릴까지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앞서 경찰은 작업 당시 주 전원은 차단했지만, 부속 전원은 차단하지 않았다는 진술도 확보했습니다.

경찰은 현재 국정자원 관계자 등 29명을 참고인으로 조사했습니다.

이 가운데 국정자원 관계자와 감리업체 직원, 공사 업체 작업자 등 5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해 조사 중입니다.

수사 과정에서 입건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화재 원인 규명까지는 시일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마비됐던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709개 중 441개가 22일 정오를 기준으로 정상화됐습니다.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영상취재 임재균]

[영상편집 이예림]

[뉴스리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무정전_전원장치 #UPS #화재 #불법_하도급 #행정정보시스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