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동네를 강남처럼 규제하다니"…노도강 '부글'

정다미 기자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10.15 부동산 대책의 후폭풍이 거셉니다.

특히 노원, 도봉, 강북, 이른바 '노도강' 등 서울 외곽지역은 집값이 오르지도 않았는데 강남처럼 규제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목소리를 높였는데요.

정다미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기자]

서울 노원구의 노후 아파트 단지.

재건축 기대로 한때 소형 평수 가격이 6억원대까지 올랐었지만, 지금은 3억원대로 뚝 떨어졌고, 규제지역이 된 후 거래 문의조차 없습니다.

<김명숙/서울 노원구 공인중개사> "집값이 안 올랐는데 왜 (규제지역으로) 지정됐어요. 왜. 다들 그냥 할 말을 잃었대요. 화밖에 안 난대요. 아예 지금 전화도 안 오고 일이 안되면 저희도 폐업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되는데"

같은 단지 넓은 평수로 이사가려했던 신혼부부는 호가를 내렸는데도 집이 팔리지 않아 안절부절합니다.

<김 모씨/신혼부부> "출산도 앞두고 있어서 집을 빨리 옮겨야 하는 상황인데. 처음에 4억2천에 내놨다가 조금 내려야 될 것 같아서 4억500만원에 내놨는데 (규제) 이후에도 보러 오시는 분이 없어가지고"

규제지역으로 재지정된 서울 21개구 중 8개구는 집값이 오히려 하락한 곳인데요.

강남 3구가 20% 넘게 오른 것과 대조적입니다.

서울 외곽 지역들은 강남과 한강벨트처럼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초강력 규제를 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류종숙/한국공인중개사협회 서울 북부회장(도봉구)> "우리 노도강은 전혀 거래가 없고 거기(강남 등)와 비교했을 때 금액이 아주 낮잖아요. 그런데 똑같은 잣대로 제재하게 되니까. 우리는 서울 균형 발전도 안 되는 것 같고 다른 지역과 더 골이 깊어지는 것 같습니다."

서울 15개 자치구 구청장들은 토허구역 지정이 지방자치 근간을 훼손하고 주민 재산권을 침해한다며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연합뉴스TV 정다미입니다.

[영상취재 문원철]

[영상편집 김 찬]

[그래픽 김세연]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