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된 MRI로 암 진단?…"국립암센터 의료장비 절반은 노후화"

문형민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립암센터 [연합뉴스TV 자료]


국립암센터에서 보유한 의료장비 절반 이상이 사용 가능 기간을 넘기는 등 노후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이 국립암센터에서 제출받은 '의료장비 노후 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구비하고 있는 의료장비 1,169개 중 618개(53%)가 조달청 내용연수(耐用年數·설비 등의 사용 가능 기간)를 초과했습니다.

618개 중 부품의 단종 등으로 수리가 어려운 내용연수 초과 5년 이상인 의료장비가 426개(69%)에 달했습니다.

내용연수 초과 10년 이상인 의료장비는 173개였고, 15년 이상인 것도 83개에 달했습니다.

영상 진단, 일반 검사, 환자 처치 등에 쓰는 진료 필수 장비 871개 중에서도 463개(53%)가 노후화했고, 110개는 교체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장비별로 보면 수술실, 중환자실 등에서 환자를 직접적으로 처치할 쓰는 장비 538개 중 327개(61%)가 사용 가능 기간을 초과했습니다. 교체 필요 수량은 72개입니다.

혈액, 소변 등을 검사하는 장비는 169개 중 89개(53%), 영상 진단 장비는 164개 중 47개(29%)가 각각 노후화했습니다. 교체 필요 수량은 35개, 3개입니다.

현재 국립암센터는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장비 5대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 중 1대는 2007년 3월에 도입돼 18년째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준 내용연수 10년을 8년 가량 초과한 상태입니다.

이 때문에 영상 검사 시 품질의 저하, 부품 수급의 어려움과 잦은 고장으로 인한 검사 지연 등이 적지 않다고 국립암센터는 전했습니다.

의료장비가 내용연수를 초과하더라도 당장 고장이 나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노후화된 장비는 진단이나 치료 도중에도 고장이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한지아 의원은 "암 관리 중심기관인 국립암센터에서 의료장비 노후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은, 기관의 신뢰뿐 아니라 국민 건강권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라며 "노후 장비는 진단 정확도를 떨어뜨리고 환자 치료를 지연할 수 있는 만큼 의료장비 전수조사와 교체 계획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립암센터 #의료장비 #노후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