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은 중독물질 아냐"…게임산업 단체, 대통령 발언에 "환영"

문형민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K-게임 간담회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국내 게임사 크래프톤의 게임ㆍ문화 플랫폼 서울 성동구 '펍지 성수'에서 열린 K-게임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15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xyz@yna.co.kr

"게임은 중독물질이 아니다"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에 국내 게임산업 관련 협회와 단체들이 "환영한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한국게임산업협회, 한국모바일게임협회, 한국인공지능게임협회, 한국게임이용자협회, 한국e스포츠협회, 한국게임개발자협회, 한국인디게임협회, 게임문화재단, 게임인재단 등 단체는 오늘(20일) 공동 성명을 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5일 서울 성수동에서 진행된 'K게임 현장간담회' 모두발언 자리에서 업계 관계자들과 만나 "게임은 중독 물질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 "과거에는 정부 정책과 엇박자를 빚으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 것 같다. 마약과 함께 4대 중독으로 규정해 지원은커녕 억압 정책을 하는 바람에 중국에 추월당했다"라고도 말했습니다.

게임산업 단체들은 "WHO의 게임이용장애 질병 코드 국내 도입을 둘러싼 논쟁이 수년간 이어졌고, 게임문화와 산업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는 불안감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서 나온 대통령의 발언은 그간의 소모적인 논쟁에 종지부를 찍고 게임을 우리 사회의 주요 문화산업의 일원으로 바라보는 인식 전환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게임산업 뿐만 아니라 게임 개발에 참여하는 청년, 게임을 소비하는 이용자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취지로 말한 것에 대해서도 "게임을 산업 진흥이라는 한쪽 측면에서만 바라보지 않는, 건강하고 균형 잡힌 관점이어서 더욱 뜻깊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문제가 있다고 장독을 없애서는 안 된다'는 대통령의 비유처럼 우리 게임 산업계가 내외부의 문제들을 회피하지 않고 지혜롭게 해결해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게임 #중독물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