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투자금 선납 불가…트럼프 수용은 불확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틀째 미국과 무역협상을 이어갔습니다.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펀드를 선불하라는 미국의 요구에 우리 정부 측 우려를 전했는데요.
결국 최종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렸다는 분석입니다.
최진경 기자입니다.
[기자]
통상교섭본부장에 이어 지난 15일 먼저 미국 워싱턴DC를 찾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틀째 미국과 무역협상 등을 이어온 구 부총리는 국제통화기금, IMF 본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진행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3,500억 달러를 조기에 선납하라는 게 미국 측 입장인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설득하는 게 가장 큰 관건일 걸로 내다봤습니다.
<구윤철 /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현지시간 16일)> "3,500억불을 빨리 업프론트(선불) 하라는 게 미국의 강한 주장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걸 수용하느냐 그 부분은 진짜 불확실성이 있는 거죠."
구 부총리는 미국 입국 당일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만나 외환 사정상 한국이 한꺼번에 선납하기 어렵다는 점을 설득했다고 밝혔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상황을 이해한다면서, 정부를 설득해보겠다는 취지로 답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구윤철 /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현지시간 16일)> "베선트 장관은 그 부분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는 저희에게 긍정적 답변을…"
일각에선 '양국이 투자 시기를 최대 10년 분할하고, 원화로 투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다만 구 부총리는 "처음 듣는다"면서 "정확히 확인해봐야 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미국 정부는 최근 중국이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을 겨냥한 제재를 발표한 것을 두고, 처음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내놨습니다.
미국 국무부는 관련 질의에 "미국 조선과 제조업 부흥을 위한 한미 협력을 약화시키려는 무책임한 시도"라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한국을 강압하기 위한 중국의 오랜 패턴의 최근 사례"라면서 "우리는 한국과 단호히 함께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한미 양국은 조선협력 프로젝트 '마스가'를 구체화할 방안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최진경입니다.
[영상편집 김세나]
[그래픽 김형서]
#마스가 #한국 #미국 #무역협상 #구윤철 #트럼프 #베선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Copyright ⓒ 연합뉴스TV.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연합뉴스TV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3
연합뉴스TV 헤드라인
더보기
연합뉴스TV 랭킹 뉴스
오후 11시~자정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