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대 피해견이 다시 주인에게"…동물보호법의 허점
현행법상 학대를 당한 동물을 구조해도 주인이 소유권을 주장하면 돌려줘야 하는데요.
이 때문에 학대 행위자의 동물 소유권을 박탈할 수 있도록 동물보호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예림 기자입니다.
[기자]
자신이 키우는 강아지의 가슴줄을 잡고 공중에 빙빙 돌리는 여성.
이 여성은 동물 학대로 벌금형을 받았지만 5일간의 격리 보호 기간이 끝난 후 강아지를 다시 데려갔습니다.
현행 동물보호법상 보호 비용만 내면 학대를 한 주인이 동물을 데려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학대자의 동물 소유권을 박탈할 수 있도록 법을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은 계속 나왔지만.
19대·20대 국회에서 발의된 관련 법안은 폐기됐고, 21대 국회에서도 여전히 계류 중인 상황.
법적 근거가 마련되지 않다 보니 할 수 있는 건 주인이 소유권을 포기하도록 설득하는 것뿐입니다.
<안종민 / 동물보호단체 캣치독 실무장> "동물이 소유물로 지정되어 있다 보니 결국은 소유자가 포기하지 않는 이상 지자체든 동물보호단체든 학대자로부터 소유권을 박탈시킬 수 있는 권한이 없기 때문에…"
학대자가 학대 동물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도 키우지 못하도록 법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한재언 / 동물자유연대 변호사> "법원에서 (동물 학대자를) 처벌을 할 때 앞으로 몇 년간 동물을 키우지 말아라는 가처분 조치를 같이 할 수 있게하는 입법도 효용이 있을 것 같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르면 이달 안에 학대자의 동물 사육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동물보호법 개정안을 국회의원을 통해 발의할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김예림입니다. (li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Copyright ⓒ 연합뉴스TV.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연합뉴스TV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3
연합뉴스TV 헤드라인
더보기
연합뉴스TV 랭킹 뉴스
오전 8시~9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