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극초음속 미사일'에 또 당했나…軍 사전 탐지 내용, 北 발표와 달라

허고운 기자
입력
수정 2025.10.23. 오후 3:00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북한 발표와 미사일 종류·발사 지점·사거리 모두 달라
軍 "SRBM 궤적 보였고 변칙 기동 탐지 안 돼"…北의 '기만전술' 가능성도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의 신형 극초음속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인 '화성-11마'의 모습.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계룡=뉴스1) 허고운 기자 = 북한이 22일 발사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에 대한 우리 군의 초기 분석과 23일 북한의 공식 발표 내용에서 상당한 차이가 발생했다.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에 대한 군의 탐지 능력에 여전히 빈틈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미사일총국은 22일 중요무기체계의 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라며 "평양시 력포구역에서 북동 방향으로 발사된 2개의 극초음속 비행체는 함경북도 어랑군 궤상봉 등판의 목표점을 강타했다"라고 보도했다.

이번 시험발사를 참관한 박정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은 "새로운 무기체계의 첨단성은 우리의 자위적 국방기술력의 부단한 갱신에 대한 뚜렷한 입증"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은 발사한 구체적인 미사일 종류와 제원은 언급하지 않았으나 '극초음속 비행체', '새로운 무기체계'라는 표현을 사용한 점에서 '화성-11마'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화성-11마는 기존 전술유도탄인 '화성-11가'(KN-23, 북한판 이스칸데르)에 극초음속 활공체(HGV) 스타일의 종말부를 장착한 신형 단거리탄도미사일이다. 극초음속미사일은 대기권 안의 낮은 고도에서 비행하면서 변칙 기동하는 특성을 가져 일반 미사일보다 발사 궤적 탐지가 어렵다. 최소 마하 5 이상의 속도를 내야 극초음속으로 분류되며 마하 7~10 이상의 속도를 내야 전략적 우위가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사일은 발사 원점 추적 및 궤적 탐지가 방어의 핵심이라는 점에서, 극초음속미사일은 발사 전 원점 타격이 아니라면 완벽한 방어가 쉽지 않은 셈이다.

북한은 이 무기를 이달 초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에서 처음 공개한 후 지난 10일 노동당 창건 80주년 열병식에도 동원했다.

(유용원 의원실 제공)


화성-11마는 탄두 부분이 원뿔형이 아닌 날개가 달린 비행체 형태의 글라이더형이다. 이날 북한이 공개한 미사일도 화성-11마와 같은 극초음속 활공체의 외형을 보였다.

북한의 발표와 전날 우리 군 당국의 발표는 미사일의 발사 장소, 비행 거리, 기종 등 대부분 내용이 다르다.

합동참모본부는 전날 북한이 황해북도 중화 일대에서 수발의 SRBM을 발사했다고 분석했다. 북한이 발표한 발사장소와 탄착지점의 거리는 약 400㎞로, 합참이 평가한 350㎞와 약 50㎞ 거리다. 또한 우리 군은 이번 미사일이 극초음속이 아닌 일반 SRBM인 '화성포-11다-4.5'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기도 했다.

이와 관련 군 관계자는 "어제 미사일은 SRBM의 궤적을 보였고, 극초음속미사일의 특징인 활공이나 회피기동은 탐지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다른 군 소식통은 "이번 미사일의 발사 거리가 활강이 가능한 수준인지 의문이 든다"라며 "비행 중 사진만 나오고 발사 사진이 공개되지 않은 점,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발사를 참관하지 않은 점, 북한이 기만에 능하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발표 내용이 100%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있다"라고 밝혔다.

손석락 공군참모총장도 이날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공군본부 국정감사에 출석해 "극초음속 화성-11마인지 여부는 아직 평가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자료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고, 그들(북한)은 글로 표현하는 부분이라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북한의 기만전술일 가능성도 시사했다.

손 총장은 또 "활공 단계에서 변칙비행이 탐지된 게 있느냐"라는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는 "일부 사거리 때문에 제한되는 부분도 일부 있을 것"이라고도 답했다.

유 의원은 "탄두부 형상을 보면 극초음속 활강체로, 저고도 극초음속 활강 성능 여부는 알 수 없으나 정확도를 과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공개한 것으로 보인다"라며 "앞으로 한미 방공망 무력화를 위한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 발사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