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단지 총 50여곳, 범죄 종사자 약 20만 명으로 추산"
(서울=뉴스1) 서미선 박소은 기자 = 캄보디아 현지에서 스캠 범죄 등에 가담한 한국인이 1000명~2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정보당국이 파악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여야 간사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은 22일 정보위 비공개회의에서 국정원으로부터 캄보디아 스캠 범죄 실태 및 대응 방안 등 현안 보고를 받고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전했다.
박 의원은 "우리 국민의 범죄 가담자는 1000명에서 2000명가량으로 추산된다"며 "국정원은 이것은 중대범죄이며 피해자로 연루될 경우 목숨까지 잃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이달부터 캄보디아 스캠 범죄 대응 인력을 대폭 보강해 캄보디아 수사당국과 협력 중이다. 최근 동남아발 우리 국민 보이스피싱 범죄가 증가해 국정원은 현재 원점 타격식 정보획득 및 대응 활동을 전개하고 있고, 일정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보이스피싱 중계기를 국내에서 공급하는 라오스 거점조직을 적발했고, 국내에서 대출 앱으로 위장해 악성 앱을 제작한 뒤 스캠 조직 범행에 제공하는 것을 차단하는 등 우리 국민 피해 최소화에 노력 중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정원으로부터 캄보디아 범죄 현황을 보고 받은 뒤 "발본색원될 때까지, 완전히 해결될 때까지 국정원이 조직 사활을 걸고 국제범죄, 마약, 인력수출, 사이버범죄, 불법 암호화폐, 스캠범죄를 확실하게 해결해 국민 걱정을 덜어달라"고 지시했다.
이에 국정원은 제3, 제4의 역량을 발휘해 이 문제를 처리하고 다루고 있다고 보고했다.
현재 캄보디아 범죄 조직은 과거 카지노 자금 세탁에 머무르다 코로나19 이후 국경이 폐쇄된 뒤 중국을 비롯한 다국적 범죄조직이 캄보디아로 침투해 스캠 범죄로 수법이 진화했다.
스캠 범죄 단지는 프놈펜 시아누크빌을 비롯해 총 50여곳, 가담하는 범죄 종사자는 약 20만 명으로 추산됐다. 무기를 소지한 비정부 무장단체 장악 지역도 있고 경제특구에도 산재해 있다. 이에 캄보디아 정부가 단속에 어려움을 겪고 국제공조에도 차질이 있다.
이 범죄조직은 2023년 캄보디아 GDP(국내총생산) 절반 수준인 125억 달러에 해당하는 범죄수익을 챙기고 있다.
박 의원은 "국정원은 범죄 수법을 설명하며 청년들이 현지 스캠조직 고수익 보장에 넘어가지 않고 캄보디아 방문을 철저히 중단할 것을 강조했고, 정보위원들은 국정원이 적극 나서 재외국민 보호와 국제범죄에 대응하도록 촉구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