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도엽 신민경 정지윤 기자 = 취임 당시 부동산 대출과 집값 상승 악순환을 잡겠다고 밝힌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서초구 다주택자'라는 점을 두고 야당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이 원장은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분은 한두 달 내 정리할 것"이라며 "염려를 끼쳐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21일 국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에 대한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권을 향해서 부동산 부분의 자금 쏠림을 개혁하라고 강하게 주문하고 있음에도, 내로남불 원장의 리더십이 과연 시장에 먹히겠나"라는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이날 야당 의원들은 이 원장이 가계대출 관리를 위한 금융당국 수장임에도 다주택자인 점이 위선적이라고 집중적으로 공격했다.
실제로 이 원장은 서울 서초구 우면동 대림아파트 두 채를 보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002년 매입 후, 2019년 12월에도 같은 아파트 내 한 채를 추가 구입했다. 모두 배우자와 공동명의며, 현재 호가는 19억~22억 원 선에 형성돼있다.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은 "참여연대 시민단체 활동할 때도 고위공직자 임용 시에 다주택자를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음에도 초고가 지역의 아파트 두 채를 보유하고 있어 입장을 조금 달리하는 것 같다"며 "취임 일성으로 부동산 대출 집값 상승 악순환을 잡겠다고 했다. 유감이라는 말씀을 드린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도 "취임할 때 부동산 가격 상승이 가계대출 확대를 부추기고 다시 부동산 가격을 올리는 악순환이 형성되고 있다고 언급했고, 참여연대 집행위원장 시절 다주택자의 고위공직자 임용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며 "임용을 제한해야 한다는 신념에 변함없나"라고 질의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조속히 해결하겠다"며 "다주택을 처리할 것, 한두 달 내 정리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다만 두 채 중 한 채는 '창고용'으로 이용 중이냐는 질의에는 "분가한 자녀가 실거주 중이다"고 선을 그었다.
이 원장의 재산에 대한 야당 의원들의 질타도 이어졌다. 이 원장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 공익소송위원장 시절, 구로 농지 강탈 사건 국가배상 소송에서 농민들을 대리해, 승소 대가로 약 400억 원의 수임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의원이 400억 원을 어디에 보관하고 있냐고 묻자 이 원장은 "금융기관에 대부분 있다"고 답했다.
한편 이 원장은 인사청문 대상이 아니라 현재까지 정확한 재산 내역이 공개되지 않았다. 오는 11월 인사혁신처가 금감원장 등 현 정부에 임명된 주요 공직자의 재산을 공개할 예정이라, 이때 정확한 재산 규모가 공개된다.
다만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공직윤리시스템 접속이 중단돼 현재 모든 재산 등록 의무자의 재산 등록이 불가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강 의원은 국감에서 이 원장의 재산목록 자료 제출을 요구하며 "금융정책을 집행·감독하는 수장이기 때문에 재산 목록에 대해서 당연히 자료 제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재산 신고 관련 10월 말까지 신고가 예정돼 있지만, 다소 지연되고 있다"며 "우면동 대림아파트의 경우 지금도 인터넷을 검색하면 다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아파트"라며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