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기범 기자 = KT(030200) 소액결제 사태 추가 피해가 확인되자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전체 가입자 대상 위약금 면제가 시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20일 KT가 세 차례 언론 브리핑을 하는 과정에서 결제 피해 지역이 강원을 포함한 수도권 54개 시·군·구로 확대됐다며 전국 KT 이용자들의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며 이같이 밝혔다.
또 서울YMCA는 이번에 KT 조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2024년 8월 이전에도 개인정보 유출 및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YMCA 측은 KT에 △전 기지국 접속 기록 전수 조사 △이용자 피해 접수 창구 개설 △전 이용자 대상 문자 고지, 유심 교체, 위약금 면제 즉각 시행 등을 요구했다.
특히 KT가 '안전한 통신서비스 제공 의무'를 위반했다며 SK텔레콤의 선례를 따라 전 이용자 위약금 면제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YMCA 측은 "KT의 여전히 소극적이고 제한적인 조사와 사업자 관점의 피해 대응 방식이 국민의 안전과 권익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고 있음을 엄중히 지적한다"며 "KT는 국민의 신뢰 회복과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이 같은 조치를 신속하게 이행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