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가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무역 합의를 최종 도출하기 위한 막바지 협상을 벌였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2일(현지시간)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난 뒤 나서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한미간의 긴박한 대면 협의가 22일로 사실상 종료됐습니다. 결국 두 정상의 결단만 남은 상황입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10월31일~11월1일·경주)를 계기로 한미 무역협상을 매듭짓기 위한 실무 협의는 사실상 마무리된 상황입니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현지시간 22일 워싱턴 DC의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한미 무역합의의 잔여 쟁점을 놓고 2시간 가량 협상을 벌였습니다.
김 장관과 김 실장은 지난 16일 같은 장소에서 같은 인물(러트닉)과 협상한지 불과 6일만에 다시 미국을 방문해 협상을 했습니다.
김 실장은 이날 협상후 기자들에게 "남아있는 쟁점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했다"며 "일부 진전이 있었다"고 했지만 잔여 쟁점에 대해 "논의를 더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실장은 그러면서도 러트닉 장관과 곧 다시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는 "만나기는 어렵다. (더 얘기할 게 있으면) 화상으로 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답했습니다.
7월말 큰 틀에서 타결된 무역합의를 매듭짓기 위한 고위 당국자들 간의 대면 협상이 일단락됐다는 것은 결국 양국 정상의 '정치적 결단'에 따라 APEC 계기 최종 합의 성사 여부가 결정될 것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3천500억 달러(약 500조원) 대미 투자 펀드의 현금 비율, 투자처 선정과 관련한 한국의 목소리 반영 방안, 분할 납입의 기간 등이 최종 쟁점으로 거론되는 상황에서 한국의 경우 이 대통령의 경제 책사인 김용범 실장이 16일과 22일 잇달아 한미협상에 직접 참여한 만큼 이 대통령의 입장은 최근 한미협상에 반영이 됐을 것으로 보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결국 공개 석상에서 '전액 선불'을 주장해온 트럼프 대통령이 그에 난색을 표해온 한국의 방안을 받아들임으로써 절충점이 찾아질지가 관건인 것으로 보입니다.
일부 한국 언론은 한국이 매년 250억 달러씩 8년간 2천억 달러의 대미 투자를 하고 나머지 1천500억 달러는 신용 보증 등으로 돌리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보도했는데,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임기 이후로까지 납입 기간을 늘리는 것에 동의할지가 최종 관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