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총국은 지난 22일 중요 무기체계의 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3일 보도했다. 통신은 "평양시 력포구역에서 북동방향으로 발사된 2개의 극초음속비행체는 함경북도 어랑군 궤상봉등판의 목표점을 강타했다"고 전했다. 이번 시험발사는 박정천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과 김정식 군수공업부 제1부부장, 장창하 미사일총국장이 참관한 가운데 진행됐다.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22일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이달 초 공개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하지만 이번 북한의 미사일은 변칙 기동까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통상 마하 5 이상의 속도로, 대기권 안에서 비행하면서 변칙 기동하는 특성을 지녀야 극초음속 미사일로 분류됩니다.
남한의 대공 방어망 무력화를 시도하는 한편, 이달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분석됩니다.
북한은 23일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전날 새로운 무기체계인 극초음속비행체 두 발을 시험 발사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발표에 따르면 평양시 역포구역에서 발사된 극초음속비행체는 함경북도 어랑군 궤상봉등판 목표지점에 떨어졌습니다. 발사지점과 탄착지점의 거리는 약 400㎞입니다.
북한은 이날 구체적인 미사일 기종이나 세부 제원을 공개하진 않았지만, 신형 극초음속 비행체라고 언급한 것으로 미뤄볼 때 이달 초 처음 공개된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화성-11마는 탄두 부분이 원뿔형이 아닌 날개가 달린 비행체 형태의 글라이더형인데, 이날 북한이 공개한 해당 미사일도 화성-11마와 같은 극초음속 활공체의 외형을 보인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평가입니다.
탄도미사일만큼 빠른 속도에 순항미사일만큼 낮은 비행고도를 결합하고 변칙 기동성까지 부여함으로써 미사일 방어망을 회피할 수 있어 '게임 체인저'로도 불립니다.
다만 우리 군은 전날 북한의 미사일 궤적에서 고도와 방향을 불규칙하게 바꾸는 변칙 기동은 식별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합니다.
변칙 기동은 미사일 요격을 어렵게 해 방공망을 무력화하는 극초음속 미사일의 핵심적 특징인데, 이번 시험발사가 그 정도 기술 역량까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시험발사를 통해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 확보 수준을 평가하긴 이르다면서도 앞으로도 북한이 계속해서 미사일 시험발사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