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 프리뷰] '4000피' 116p 남겨둔 코스피…투자심리 '후끈'

김완진 기자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모닝벨 '마켓 프리뷰'  - 이지환 아이에셋 대표

Q. 코스피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어제(22일)도 초반 낙폭을 만회하고 결국 1% 넘게 오르면서 이제 4천선까지 3% 정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먼저 어제 장 흐름 어떻게 보셨나요?

- 코스피, 전장비 1.56% 상승…3883.68 장 마감
- 초반 약세 보이던 코스피…뒷심 발휘하며 최고치 경신
- 개인-저가 매수·기관-매수 전환…외인 홀로 순매도세
- 지수 조정 받을 때마다 저가 매수세 하단 지지 반복
- 시총 상위 대부분 상승 마감…삼성전자 1.13% 상승
- 최근 美증시 AI 모멘텀 지속…정부 정책 기대감 유입
- 북한 도발·한화 방산업 세일즈에 방산주 일제히 강세
- APEC 앞두고 무력 시위 나선 북한…탄도 미사일 도발
- 긴장 극대화 피한 북한…시진핑 APEC 참석 고려한 듯
- 한화 부회장-정부 특사단 루마니아 방문…무기 세일즈
- 방산 업종 투심 자극…한화에어로스페이스 3.39%↑
- HD현대중공업·HD한국조선해양, 조선 수주에 강세
- 달러·원, 주간 기준 2.0원 상승…1429.8원 기록
- 방산주 밀어 올린 北도발…지정학 리스크에 환율 상승
- 다카이치 日 총리 선출 영향 지속…엔화 약세·달러 강세
- 코스닥, 전장대비 0.76% 상승…879.15 장 마감

Q. 어제 장 초반 하락세는 미중 정상회담 불발 가능성이 대두됐기 때문인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오락가락하고 있어서 대응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밤사이에는 또 미중 갈등 우려가 커졌는데,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 또 말 바뀌는 트럼프…"시진핑과 회담 취소될 수도"
- 또다시 신중 모드…회담 '합의 VS 무산' 기싸움?
- 트럼프 "시 주석과 한국에서 많은 이야기 나눌 예정"
- 회담 자체 불발 가능성 언급…"단지 비즈니스 영역"
- AFP통신 "트럼프, 시진핑과 만남 수차례 맘 바꿔"
- 미중 정상회담, 글로벌 관세·경기·공급망 등 핵심 계기
- 美, 中수출품에 적용된 자국 소프트웨어 규제 검토
- 로이터 "노트북, 항공기 엔진 등 광범위한 제품 포함"
- 트럼프, 대중 초고율 관세…수출 통제는 '오락가락'
- 미러 정상회담도 부정적…"쓸데없는 회담 원하지 않아"
- 트럼프, 소득 없인 정상회담 거부…회담 전 결과 압박
- 정부 협상단 다시 미국으로…APEC 전 결과 도출 노력
- 트럼프 "韓 합의 잘해"…대미 투자 방식 이견 조율 중
- 한미, 대미투자 3500억달러 절충 시도…"일부 진전"
- 김용범 "한미협상 꽤 마지막까지 와…잔여쟁점 한두개"
- 한미 관세 협상 타결 기대감에 조선주 일제히 신고가
- 삼성重, 52주 신고가 경신…HD한국조선해양 5.4%↑

Q. 오늘(23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유지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은데, 일각에서는 올해 금리인하가 없을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관련해서 투자전략은 어떻게 짜야 할까요?

- 한은, 오늘 금통위 개최…금리 3차례 연속 유지 전망
- 서울 중심 부동산 시장 재과열 우려…환율도 문제
- 다음 인하 시점 11월 우세…"올해는 기회 없을 수도"
- 한국 기준금리 연 2.5%…5월 인하 후 2차례 유지
- 부동산 추가 대책 발표…효과 확인 위해 시간 필요
- 이창용, 금리 유지 시사…"집값 불 지피진 않을 것"
- 개인 투자자들, 코스피 추가 성장 가능성에 국장 복귀
- '코스피 5000'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활약 기대
- 2030세대, 최근 코스피 상승에 투자…"비중 확대"
- 집값 조이는 부동산…부동산→증시 '머니무브' 기대
- 투자자 일각 "자금 불려 다시 부동산 투자" 계획도
- "곧 4000피" 투자자 '매수 VS 차익실현' 딜레마
- 증시 "추가 상승" VS "시장 조정"…다음 스텝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