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예·적금 금리 올랐다는데…얼마나?

김성훈 기자 TALK
입력
수정 2025.10.23. 오전 6:28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줄줄이 올리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시장금리가 오른 데다, 4분기 대규모 예·적금 만기가 돌아오면서 수신금리 경쟁도 치열해지는 분위기입니다.

오늘(2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전날 '하나의 정기예금' 최고금리를 연 2.55%에서 2.60%로 높였습니다.

'하나의 정기예금' 최고금리는 지난 7월 2.45%까지 떨어졌다가 9월 23일 2.50%로 올랐으며, 이달에만 1일과 22일 0.05%포인트(p)씩 두 차례 인상됐습니다.

하나은행은 "시장금리 인상을 반영해 정기예금 금리를 0.05%p 올렸다"고 설명했습니다.

인터넷전문은행들도 최근 예·적금 금리를 높였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17일 정기예금과 자유적금의 1년 만기 금리를 0.10%p씩 올렸습니다.

이에 따라 정기예금 1년 만기 기본금리는 2.60%, 자유적금 1년 만기 기본금리는 2.80%로 조정됐습니다.

케이뱅크도 지난 15일 코드K정기예금 1년 만기 상품의 기본금리를 2.50%에서 2.55%로 0.05%p 인상했습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공시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대표 정기예금 상품 최고 금리(1년 만기 기준)는 연 2.55∼2.60% 수준입니다.

은행들은 예·적금 금리 인상의 이유로 시장금리 상승을 듭니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은행채 1년물 금리는 지난 8월 14일 2.498%까지 떨어졌다가 점차 상승해 이달 21일 기준 2.587%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최근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시장금리에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한은은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0·15 부동산 대책이 나온 지 1주일밖에 되지 않은 상황에서 한은이 금리를 낮춰 '정책 엇박자' 논란을 자초할 이유가 없고, 미국 관세 협상 불확실성에 최근 달러-원 환율까지 1430원대로 치솟았기 때문입니다.
 
시장에서는 부동산·가계대출·환율·성장 등 경제·금융 환경에 큰 변화가 없다면, 이달뿐 아니라 11월에도 금리 인하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입니다.

예금 만기가 4분기에 집중돼있어 금융권 예금 금리 경쟁이 심화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서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모두 4분기 만기도래하는 예수금 비중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4분기 예수금 만기 도래 비중은 저축은행이 31.6%, 상호금융이 26.6%를 기록했습니다.

한은은 "수신 경쟁이 심화하면서 금융기관 간 예금 금리 차이가 벌어지면 연말 자금이동 규모가 확대될 수 있어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