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가운데)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오른쪽) 등 한국 측 대표단이 22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 있는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난 뒤 청사를 나서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한미 관세 후속 협상을 위해 방미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만난 뒤 "일부 진전이 있었다"면서도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김 실장은 현지시간 22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워싱턴DC 미 상무부 청사에서 러트닉 상무장관을 만난 이후 기자들에게 "한두 개라고 한 것은 쟁점이 많지 않다는 것으로 오늘도 남아 있는 쟁점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잔여 쟁점이 한두 가지라면서 "아주 많지는 않다"고 한 뒤 "논의를 더 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실장은 잔여 쟁점이 무엇인지, 또 이에 대해 어떤 진전이 이뤄졌는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미해결 쟁점인 3천500억달러(500조원)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 방안과 관련해 현금 비율, 자금 공급 기간 등이 의제에 올랐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 실장은 김 장관과 함께 이날 오전 워싱턴 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입국하면서 기자들에게 "많은 주제는 의견이 많이 근접해 있고 한두 가지 주제에서 양국의 입장이 차이가 크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다만 "많은 쟁점에 대한 이견은 어느 정도 조율이 돼 있고 우리가 이번에 온 추가 주제에 대해 우리 입장을 미국이 조금 더 진지하게 이해해준다고 하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언급을 했던 김 실장이 이날 미측과 협상 후 "일부 진전"을 말한 만큼 쟁점을 둘러싼 입장차가 일정 부분 좁혀졌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됩니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이 미국을 찾아 러트닉 장관을 만난 것은 지난 16일 이후 엿새 만입니다.
이들은 당시 협상에서 만찬을 포함해 4시간 넘게 회담하며 상당 부분 이견을 좁혔지만 한두 가지 남은 쟁점을 논의하기 위해 한국으로 귀국한 뒤 이번에 재차 미국을 방문했습니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은 이날 곧바로 애틀랜타로 이동해 귀국할 예정입니다.
이처럼 짧은 일정으로 이뤄진 방문인 만큼 마지막으로 남은 핵심 쟁점에 대한 한국 측 최종 카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미국 측 반응을 확인하는 자리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날 협상 후 김 실장은 러트닉 장관과 곧 다시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 "만나기는 어렵다"며 "(더 얘기할 게 있으면) 화상으로 해야 하지 않겠나"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오는 31일 경주에서 개막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 타결될 것으로 보는지 묻자 "(APEC이) 우리에겐 중요한 계기"라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