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완 지방의료원연합회 회장(서산의료원장)이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자료: 국회방송 화면)]
지방의료원연합회가 지역 공공의료 현장의 인력 부족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공공의대와 지역의사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김영완 지방의료원연합회 회장(서산의료원장)은 오늘(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으로부터 '공공의대를 설립해 인력을 안정적으로 배출하면 지방의료원의 어려움을 상당히 덜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의를 받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지방의료원연합회는 지역에서 공공의료를 담당하는 지방의료원 35개 연합입니다.
김 회장은 "공공의료 부문은 늘 사람을 찾기가 어렵고 지방은 상황이 더 열악하다"며 "공공의대나 지역의사제를 통해서 안정적인 의료인력 공급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인력 이탈 문제가 매우 심각한데, 특히 의사 인력의 수도권 및 대형병원 쏠림 현상이 날로 심화하고 있다"며 "정부에서 공공임상교수제, 시니어의사제 등으로 인력을 지원하고 있지만 전체를 커버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고 토로했습니다.
김 회장은 지방의료원이 당면한 문제로 의료인력 이탈 외에도 열악한 재정 환경을 꼽으며 충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
올해 6월 말 기준 지방의료원 중 29개가 적자고, 그 규모가 484억원에 이릅니다. 병상 가동률도 62.5%에 불과해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김 회장은 "올해 연말까지 추계해보면 그보다 더 많은 약 1천500억여원의 적자가 예상된다"며 "지금도 일부 의료원은 임금체불 등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의료인력과 직원들의 이탈이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이어 "지방의료원이 다시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고 든든한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의 관심과 배려가 절실하다"며 "전국의 지방의료원은 공공의료의 최일선에서 지역의 건강 안전망을 굳건히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