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 이후 발령된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 단계와 이에 따른 비상진료체계가 해제됩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오늘(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전공의 복귀 이후) 의료체계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며 "심각 단계를 20일 0시부로 해제한다"고 밝혔습니다.
의정 갈등으로 불거진 이른바 '의료대란'이 1년 8개월 만에 공식 종료되는 셈입니다.
정 장관은 "지난 1년 8개월 동안 의정 갈등으로 인해 의료현장에서 불편 겪은 환자, 가족에게 위로와 사과를 드린다"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 환자 곁에서 생명 지켜주는 의료진, 119 구급대 등 공무원께 감사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해 2월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하자 2월 23일 사상 처음으로 보건의료 재난경보단계를 최고인 심각으로 상향하고 지금까지 이에 따른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해 왔습니다.
정 장관은 "새 정부 출범 후 의료계와 소통을 재개하면서 상호 협력했고 상당수 전공의가 복귀했다"며 진료량이 비상진료 이전 평시의 95% 수준을 회복했고, 응급의료 상황도 수용 능력을 거의 회복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비상진료체계가 해제되면 비상 진료 명목으로 시행됐던 한시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등의 조치들이 종료되고 일부는 상시화됩니다.
간호사 진료지원, 비대면 진료, 입원전담 전문의 등의 조치들은 제도화가 추진됩니다.
정 장관은 "그동안의 경험을 반면교사로 해 상호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설계해 나가겠다"며 "국민, 의료계가 공감·지지하는 의료 혁신 로드맵을 신속히 마련해 지속 가능한 보건의료 체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