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해도 백수, 빚만 늘고"…실신 20代 더 가난해졌다

오정인 기자
입력
수정 2025.10.17. 오전 7:25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0대 경제난 '심각'…연체율 전 연령층 '1위'

20대 청년들의 은행 대출 연체율이 다른 연령층보다 높을 뿐 아니라, 결국 제도권 금융에서 밀려나 사채 등에 매달리는 '한계 청년'들도 계속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 특성상 직업이 아예 없거나 고용이 불안한 가운데 물가와 주거비 상승 압박이 커지면서 어른이 되자마자 빚의 수렁에 빠지는 셈입니다. 

오늘(17일) 5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연령별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20대 연령층의 가계대출 잔액은 34조5천66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대출 규모 자체는 ▲30대 195조4천933억원 ▲40대 221조1천409억원 ▲50대 172조2천824억원 ▲60세 이상 132조1천934억원과 비교해 작지만, 대출의 부실 정도는 가장 심각합니다.

20대의 5대 은행 가계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 단순 평균은 0.41%로, 모든 연령층 가운데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50대(0.37%)·40대(0.35%)·60세 이상(0.32%)·30대(0.23%) 순이었습니다.

더구나 20대의 연체율은 1년 전인 작년 6월 말(0.39%)보다 0.02%포인트(p) 더 높아졌습니다.

빚에 허덕이는 청년들의 곤궁한 처지는 신용대출 연체율 추이에서도 확인됩니다.

A 은행의 올해 7월 기준 20대 이하 대출자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0.80%로, 30대(0.37%)·40대(0.37%)·50대(0.37%)·60세 이상(0.62%)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취업 실패나 연체 등으로 제도권 금융기관 대출이 막힌 젊은이들은 2금융권이나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서민금융원이 지난해 6월 공개한 '저신용자 대상 설문조사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저신용자(6∼10등급) 가운데 최근 3년 이내 대부업 또는 사금융 이용 경험이 있거나 현재 이용 중인 1천538명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20∼30대 응답자의 10%가 "불법 사금융 이용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 긍정 답변의 비율은 2022년 7.5%에서 2023년 9.8%를 거쳐 계속 오르는 추세입니다.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업권별 신용유의자 현황 자료'에서도 지난해 7월 말 기준 한국신용정보원에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20대는 6만5천887명(중복 인원 제외)으로 2021년 말(5만2천580명)보다 25.3%나 급증했습니다.

같은 기간 전체 신용유의자가 54만8천730명에서 59만2천567명으로 8%가량 늘어난 것과 비교해 20대의 신용 위험이 매우 빠르게 커진다는 뜻입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