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권별 가계대출 증감 추이 (자료=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6.27 규제 영향이 9월에 본격화되며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줄어들었습니다.
오늘(1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9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총 1조1천억원 증가해 전월(+4조7천억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6천억원 증가해 전월(+5조1천억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으며, 은행권(+3조8천억원→+2조5천억원)과 제2금융권(+1조3천억원→+1조1천억원) 모두 증가폭이 축소됐습니다.
기타대출은 2조4천억원 감소해 전월(-4천억원) 대비 감소폭이 확대됐으며, 이는 신용대출 감소폭이 확대(-3천억원→-1조6천억원)된 점 등에 따른 것입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이 2조원 증가해 전월(+4조1천억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습니다.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폭이 전월 대비 축소(+2조7천억원→+1조4천억원)됐으며, 정책성대출은 증가폭을 유지(+1조1천억원→+1조1천억원)됐습니다. 8월에 3천억원 증가했던 기타대출은 5천억원 감소로 전환됐습니다.
2금융권 가계대출은 9천억원 감소해, 6천억원 증가했던 8월에 비해 감소로 돌아섰습니다.
보험(-5천억원→-2천억원)은 전월 대비 감소폭이 축소된 반면, 여전사(-2천억원→-1조1천억원)는 감소폭이 확대됐습니다. 상호금융권(+1조2천억원→+9천억원)은 증가폭이 축소됐고, 저축은행(+300억원→-5천억원)은 감소세로 전환됐습니다.
9월 가계대출 증가규모가 축소된 것은 주택매매거래량 감소 등 6.27 규제 영향이 시차를 두고 본격화되면서 신규 주담대(+5조1천억원→+3조6천억원) 증가규모가 축소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됩니다.
기타대출도 휴가철 자금 수요 감소와 분기별 매상각 등의 영향으로 신용대출 감소폭이 늘어나(-3천억원→-1조6천억원)면서 전월 대비 감소폭이 확대(-4천억원→-2조4천억원)됐습니다.
금융위는 "9월 가계대출 증가세는 상당 수준 안정화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최근 수도권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며 주택거래량이 일부 증가해 향후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 증가세가 다시 확대될 우려가 있는 만큼, 보다 선제적인 가계대출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