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흘 만에 美 다시 찾은 김용범 “한·미 협상 마지막 수순"

이인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미 관세·무역 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양국 간 협상 진도가 “꽤 마지막까지 와 있다”고 언급했다.

22일(현지 시각) 김용범 실장은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서 “양국 간 협상을 몇 달째 했는데 지난 몇 주간 양국이 매우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자세로 쟁점들에 대해 진지한 이야기를 했다”고 말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2일(현지시각)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뉴스1

김 실장은 한국 측 협상 대표 격인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미국에 들어왔다. 한국 시간으로 김 실장은 지난 19일 귀국한 지 사흘 만에, 김 장관은 20일 귀국한 지 이틀 만에 다시 미국을 찾았다.

김 실장은 “많은 주제는 의견이 많이 근접해 있고, 한두 가지 주제에서 양국의 입장이 차이가 크다. 미국 측에서 완강한 부분에 대해 본국에 가서 보고하고 다른 부처와도 이야기하고 다시 오겠다는 것을 우리가 시사했다”고 말했다.

지난 협상 당시 미국 측 협상 대표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오랜 시간 협상했지만, 합의하지 못했다. 한국에서 이를 다시 논의한 뒤 재차 방미하겠다는 의견을 미국 측에 전달한 결과, 이날 방미가 이뤄졌다고 한다.

김 실장은 “협상이라는 게 중요한 쟁점에 대해 각자 입장을 이야기하다 보면 갑자기, 기존에 어느 정도 잠정적으로 (합의)했던 부분까지 연결돼서 후퇴할 수도 있어서 조심스럽다”고 밝혔다.

그는 “그렇지만 많은 쟁점에 대한 이견은 어느 정도 조율이 됐다. 이번에 온 추가 주제에 대해 우리 입장을 미국이 조금 더 진지하게 이해해준다고 하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대미(對美) 3500억달러(약 500조원) 규모 투자 패키지 구성에 대한 질문에 김 실장은 “우리가 반복적으로 이야기한 것은 한국이 감내할 수 있는 범위 내, 이게 기준이고 다 연계된 문제라는 것이다.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줄 충격이 커서는 안 된다 등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가 있는데 그게 다 서로 연관돼 있다”고 답했다.

김 실장은 이날 김 장관과 함께 러트닉 장관을 만난 뒤 애틀랜타로 이동해 곧바로 귀국길에 오를 예정이다. 1박 2일 출장도 아닌 무박으로 미국과 막판 협상을 벌이겠다는 의미다.

김정관 장관은 “지금 몇 개 남아 있는 쟁점들이 있고, 그 쟁점들을 물론 화상으로도 (협상을) 하지만 직접 (얼굴을) 보고서 하는 게 훨씬 효과적일 것 같아서 직접 만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