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 등 업황 개선 기대감에 상승
코스피 지수가 6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 기록을 이어가며 ’4000피’까지 불과 116포인트만 남겨두게 됐다. 22일 약보합세로 출발한 지수는 오후 들어 기관이 매수세로 돌아서면서 상승폭을 키웠다. 코스닥 지수도 장중 상승 전환해 1% 가까이 올랐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날보다 59.84포인트(1.56%) 오른 3883.68로 장을 마쳤다.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3.39포인트(0.09%) 상승한 3827.23으로 개장해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에 3800선 밑으로 하락했다. 그러나 개인투자자의 ‘사자’ 덕분에 낙폭이 커지진 않았고 3830선에서 오르내림을 이어갔다.
오후 들어 기관이 매수세로 전환하면서 지수는 빠르게 반등했다. 기관의 매수 전환에 개인은 매도로 돌아섰지만 그래도 지수는 우상향을 이어갔다. 결국 지수는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3890선을 코앞에 뒀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와 개인은 각각 7248억원, 549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기관만 7630억원 매수 우위를 보였다.
이날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1100원(1.13%) 상승한 9만8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우선주인 삼성전자우도 0.77% 올랐다. SK하이닉스는 2500원(0.52%) 오른 48만1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이들 종목을 비롯한 반도체 업종은 차익 실현이 이어지며 하락 출발했지만 장중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외에도 LG에너지솔루션, 삼성바이오로직스, 현대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HD현대중공업, 기아 등은 상승 마감했다. 이와 달리 두산에너빌리티 등은 하락했다.
이날 LG화학은 전 거래일 대비 13.01% 오른 39만1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14.31% 상승해 39만5500원까지 오르며 1년내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는 영국계 행동주의 펀드 팰리서 캐피탈이 LG화학에 현재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며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제안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덕분이다. 팰리서 캐피탈은 LG화학 지분 1%를 보유한 장기 주주다.
이경신 대신증권 연구원은 “최근 코스피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수가 조정을 받을 때마다 저가 매수세가 하단을 지지하는 모습이 반복되고 있다”며 “최근 업황 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이차전지를 비롯해 화학, 철강 등 저평가되고 주목받지 못했던 업종을 중심으로 순환매(특정 종목 주가가 오르면 관련 기업 주가가 동반 상승하는 현상)가 나타났다”고 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65포인트(0.76%) 오른 879.15로 마감했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69억원, 991억원 순매도했다. 개인은 1784억원어치를 ‘사자’에 나섰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선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 등 이차전지 종목이 눈에 띄었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가 늘면서 업황 개선 기대감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이날 에코프로는 전 거래일보다 1만1500원(15.15%) 상승한 8만7400원에, 에코프로비엠은 3.38% 오른 16만5200원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에코프로머티도 6.34% 상승했다. 에코프로는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를 만드는 에코프로비엠과 양극재 전 단계인 전구체를 생산하는 에코프로머티의 지주회사다.
이외에도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등의 주식은 전날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를 마무리했다. 반면 레인보우로보틱스, 펩트론, 파마리서치, HLB, 에이비엘바이오 등은 하락 마감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오후 3시 30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2.0원 오른 1429.8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전날보다 3.7원 오른 1431.5원에서 출발, 장 초반 1432.8원까지 오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