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TV 수신료 통합 징수… KBS “매년 대하드라마 제작”

이윤정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TV 수신료 통합 징수가 23일부터 시작되는 가운데, KBS가 대하드라마 제작과 대형 공연 프로젝트 기획 등 공공성 강화 사업 계획을 내놨다.

KBS는 22일 “수신료 통합 징수 재개를 계기로 국민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공영방송의 책무를 한층 강화한다”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정책으로 ‘공공성 강화 사업’을 추진하고, 시청자 중심의 방송 혁신과 공익 콘텐츠 확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 여의도 KBS 사옥 전경./ KBS 제공

TV 수신료는 KBS의 주요 재원으로, 1994년부터 전기 요금과 통합 징수돼 왔으나 2023년 7월 방송법 시행령 개정으로 분리된 바 있다. 그러다 올해 4월 이를 되돌리는 내용의 개정 방송법이 공포 6개월을 맞으면서 오는 23일부터 수신료 통합 징수가 재개된다.

먼저 KBS는 내년 하반기 정통 사극 ‘대왕 문무’ 방영을 시작으로 매년 대하드라마를 제작할 방침이다. 대한민국의 역사와 문화를 깊이 있게 조명하기 위함이다.

여기에 대형 프로젝트 공연의 기획을 정례화하기로 했다. KBS는 올해 추석 연휴에 광복 80주년을 맞아 ‘조용필, 이 순간을 영원히’를 선보인 바 있다. K-컬처의 세계적 확산에 기여할 K-팝 공연도 기획하기로 했다.

이 외에도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역사 콘텐츠, 국가적 의제를 제시하는 다큐멘터리 제작에 박차를 가한다. 저출생 극복 TV 캠페인을 펼치고 어린이 전용 콘텐츠도 만들 예정이다.

KBS는 “제2의 창사 수준으로 공영성, 공공성, 공익성 강화 계획을 재정비해 국민이 내주시는 수신료의 가치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