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ENG, 플랜트본부 1000명 1개월씩 순환형 유급휴직 추진

박지윤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6개조 나눠 한 달씩 유급 휴직
플랜트 수주 지연, 가동률 제고 차원
노조 “사실상 인력 구조조정” 반발

현대엔지니어링이 플랜트본부 본사 직원 약 1000명을 대상으로 1개월 순환형 유급휴직을 추진한다.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계동 현대엔지니어링 본사 앞으로 시민이 지나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 안성 교각 붕괴 사고 수사전담팀은 이날 '서울-세종고속도로 공사장 제9공구 교각 상판 붕괴 사고' 시공사인 현대엔지니어링을 비롯해 한국도로공사와 장헌산업 및 강산개발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 2025.2.28/뉴스1 ⓒ News1 권현진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은 본사 플랜트 본부 소속 직원 약 1000명을 대상으로 6개 조로 나눠 한 달씩 유급순환휴직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플랜트 수주 일정이 지연되고 있어서 물량이 없다보니 가동률 제고 차원에서 유급 휴직을 추진한다”고 말했다.

전국건설기업노동조합 현대엔지니어링지부는 회사 사정이 어려워지자 플랜트 인력을 중심으로 ‘사실상 인력 구조조정’에 나섰다고 반발했다.

현대엔지니어링 노조 측은 지난 16일 회사에 송부한 공식 입장문을 통해 “회사가 지난 15일 오후 플랜트 본부 전체 직원을 대상으로 자택 대기를 실시하겠다고 통보했다”며 “이는 단체협약 위반이자 인위적 구조조정 시도”라고 했다.

노조는 “이번 자택 대기 조치는 사실상 인력 감축의 전 단계”라며 “이는 명백한 구조조정 행위”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사측에 ▲경영진의 전원 사퇴 또는 쇄신안 제시 ▲임원 급여 및 성과급 전액 반납 ▲플랜트 부문 경쟁력 강화 및 일감 확보 대책 제시를 요구했다.

이에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번 조치는 인력 감축이나 구조조정이 아닌 일시적 경영 대응책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노조와의 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