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온실가스 감축, 5년간 14.7% 줄어...정부 목표 달성 어렵다

이인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내 주요 대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근 5년간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정부의 2030년 감축 목표 달성은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201개 사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4억9153만톤(t)에서 지난해 4억1951만t으로 14.7% 감소했다. 조사 대상은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매년 공시해 6개년 추이 비교가 가능한 곳을 추린 것이다.

리더스인덱스 제공.

정부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40%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현재 추세대로라면 2030년에도 20% 안팎 줄어드는 것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목표의 절반 수준이다.

2019년과 비교해 지난해 배출량이 줄어든 기업은 106곳, 늘어난 기업은 95곳이었다. 특히 전통적으로 배출 비중이 큰 ‘굴뚝 산업’에서 감축이 두드러진 반면 사업 확장 기업과 에너지 사용이 늘어난 신산업에서는 배출량이 늘어났다.

가장 감소율이 큰 기업은 SKC(99.2%)였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온산공장을 2022년 매각하면서, 2019년 17만3964t에서 지난해 1437t으로 줄었다. 이어 DL이앤씨(77.6%), 한화(64.0%), LG전자(62.4%), 아모레퍼시픽(61.3%) 순으로 감소율이 높았다.

절대 감소량으로는 발전 5사와 포스코가 두드러졌다. 한국남동발전은 5340만t에서 3071만t으로 2269만t(42.5%) 줄었다. 한국남부발전(33.6%), 한국동서발전(33.4%), 한국서부발전(22.2%) 등 발전사의 감축 효과가 컸다. 민간기업 중에선 포스코가 8050만t에서 7110만t으로 940만t(11.7%)을 감축해 절대 감소량이 가장 컸다. 뒤이어 LG디스플레이 221만t(37.6%), 현대제철 133만t(4.4%), OCI 95만t(44.4%), 롯데케미칼 90만t(13.2%) 순이었다.

반면 배출이 급증한 기업들도 있다. 배터리 소재 업체인 엘앤에프는 2만6641t에서 13만8295t으로 419% 급증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방산 합병 영향으로 2만5802t에서 11만4383t으로 343% 뛰었다. 에코프로비엠(221%), 롯데지주(215%), 일진글로벌(196%), HD현대케미칼(188%) 등도 세 자릿수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