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펑은 자율주행·UAM·로봇 사업서 두각
“中 브랜드 신뢰도 낮아 고전할 것” 전망도
국내에서 중국 전기차 업체의 공세가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국내 시장에 처음 진출한 BYD에 이어 지커와 샤오펑 등 후발 업체들도 잇따라 법인을 설립하고 국내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완성차 업계에서는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갖춘 중국 전기차가 차종까지 늘면 국내 점유율이 빠르게 늘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3일 수입차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전기차 제조사 샤오펑은 지난 6월 ‘엑스펑모터스코리아’라는 이름으로 한국 법인을 설립하고 등기를 완료했다. 샤오펑은 현재 국내 사업을 이끌 승용 부문 대표를 찾고 있으며, 딜러사와 계약해 내년 1분기 중 국내에서 첫 제품을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재키 구 샤오펑 기술위원회 회장은 지난달 8일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5’에서 국내 취재진과 만나 “한국은 브랜드 간 경쟁이 치열한 시장”이라며 “한국 진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2014년 설립된 샤오펑은 ‘중국의 테슬라’라고 불릴 정도로 중국 시장에서 가장 혁신적인 전기차 업체로 꼽힌다.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중국 완성차 업체 중 가장 앞선 기술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와 휴머노이드 로봇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샤오펑의 자회사인 샤오펑에어로HT는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 가전 전시회(CES·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 하늘을 나는 자동차(플라잉카)인 LAC(Land Aircraft Carrier)를 공개하기도 했다. LAC는 6륜 구동 전기 미니밴과 2인승 수직 이착륙 드론으로 구성된다. 공중은 플라잉카로 운행하지만, 육지에서는 드론을 분리해 미니밴에 수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업계에서는 샤오펑이 국내 첫 출시 모델로 준대형 전기 세단인 P7을 선택할 것이란 의견이 많다. P7은 2020년부터 판매된 차로 올해 7월 중국 시장에서 2세대 신형 모델이 출시됐다. 신형 P7은 800볼트(V)의 고전압 플랫폼 기반으로 설계됐으며 10분 충전으로 525㎞를 주행할 수 있다. 샤오펑이 자체 개발한 ‘튜링 AI’가 적용돼 레벨 4 수준의 자율 주행 성능도 갖췄다.
중국의 고급 전기차 브랜드인 지커도 국내 진출 속도를 높이고 있다. 지커는 지난 2월 말 국내에서 법인명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로 등기를 마치고 제품 출시를 준비 중이다.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아우디코리아를 이끌었던 임현기 전 대표를 한국 법인 대표로 선임하고 첫 제품의 출시 시점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커는 중국의 대형 완성차 업체인 지리자동차의 고급 브랜드다. 현대차그룹의 제네시스와 비슷하다. 지리자동차가 속한 저장지리홀딩그룹은 스웨덴 자동차 기업인 볼보와 고급 전기차 브랜드인 폴스타, 영국 스포츠카 제조사 로터스를 인수한 업체로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높다.
지커가 국내에서 판매할 첫 번째 모델은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ports Utility Vehicle·SUV) 7X가 유력하다. 7X는 지난해 출시된 1세대 모델로 지리자동차가 개발한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SEA(Sustainable Experience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폴스타5와 같은 800V 고전압 시스템이 적용됐으며 1회 충전으로 최대 543㎞를 주행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 브랜드에 대한 한국 소비자의 신뢰도·선호도가 낮아 중국 전기차가 국내 시장에 안착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란 전망도 있다. 지난 1월 국내에 진출한 BYD는 8월까지 총 1947대를 판매해 수입차 브랜드 중 12위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1% 수준이다.
BYD는 중국 최대 전기차 제조사로 배터리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갖췄지만, 중국 자동차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불신이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앞서 국내에 진출한 폴스타 역시 고급 전기차 브랜드로 분류되지만, 올 들어 8월까지 국내 판매량은 1866대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