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원(F1)팀 소속 발테리 보타스가 12년 만에 한국을 찾았다.
보타스는 12일 경기 용인 에버랜드 AMG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피치스 런 유니버스 2025’ 행사에 참석해 F1 경주차 시범 주행을 선보였다.
이번 방한은 2013년 전남 영암에서 열린 F1 코리아 그랑프리 이후 처음이다. 그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에서 F1 그랑프리 대회가 다시 개최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개최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답했다.
이어 “2013년 전남 영암에서 열린 F1 코리아 그랑프리 이후 처음으로 한국에 왔다. 그때에도 좋은 경험을 했기 때문에 한국에 다시 온다면 너무나도 좋을 것 같다”며 “올해 F1과 관련한 영화와 넷플릭스가 개봉된 것을 계기로 F1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스포츠인 만큼 이를 인정해 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핀란드 국적의 보타스는 이날 ‘메르세데스-AMG F1 W13 E 퍼포먼스’ 차량으로 스피드웨이 4.3㎞ 서킷을 시범 주행했다. F1 경주차가 국내 서킷을 달린 사례는 2013년 영암 대회 이후 12년, 시범 주행 기준으로는 2012년 서울 잠수교 행사 이후 13년 만이다.
보타스는 AMG 스피드웨이에 대해 “드라이빙 포인트가 많고 고저 변화도 커 약간의 어려움은 있을 것 같다”면서도 “좀 더 익숙해지면 재미있게 드라이브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F1 그랑프리 때보다 차를 더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서킷”이라며 “관중들이 스피드를 잘 느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한국인 F1 드라이버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나오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언급했다. 그는 “젊은 드라이버들이 많이 양성되고 있고 모터스포츠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 높아진 상태”라고 말했다.
보타스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팀의 주력 드라이버로 활약했다. 루이스 해밀턴과 함께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F1 그랑프리에서 총 10승, 20회 폴 포지션, 67회 포디움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는 팀의 리저브 드라이버인 세 번째 드라이버로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