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만성질환자나 병원·보육시설 등에서 근무해 감염 노출 위험이 높은 사람은 접종을 권장하지만 그렇지 않은 건강한 20대에겐 접종이 ‘선택 사항’인 셈이다. 만성질환 대상자는 광범위한데, 만성폐질환자, 만성심장질환자(단순 고혈압 제외), 만성간질환자, 만성신장질환자, 신경-근육 질환, 혈액-종양 질환, 당뇨환자, 면역저하자(면역억제제 복용자), 60개월~18세의 아스피린 복용자, 50~64세 인구가 해당된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직접적인 고위험군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가족 중 노인이나 영유아가 있는 경우 ‘감염의 매개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본인과 주변인을 동시에 보호한다는 관점에서 예방접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인플루엔자 백신은 감염을 완전히 차단하지는 못하지만, 증상 완화와 합병증 예방, 입원율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국가예방접종 백신 종류가 4가였던 지난해와 달리 바이러스 항원이 적은 3가로 전환되면서 불안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과학적으로 예방 효과는 충분하다. WHO에 따르면 최근 전세계적으로 B형 야마가타 독감바이러스가 줄어 이에 대한 항원을 백신에 포함시킬 필요가 없어졌다. 백신의 면역원성 연구 결과에서도 3가·4가백신 간 예방 효과와 안전성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