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제약·바이오산업 지수’ 세계 3위… “인적 자원·R&D 투자 개선 결과”

전종보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싸이티바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 발표
싸이티바 최준호 아태지역 총괄 사장이 16일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 사진 = 전종보 기자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이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에서 22개국 중 3위를 차지했다. 2023년 지수에서 세계 12위, 아시아 3위였던 한국은 2년 만에 순위가 9단계 상승하며 22개 국 중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이뤘다.

싸이티바는 16일 강남 코엑스에서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 기자간담회’를 열고, 각국 제약·바이오산업 지수 발표와 함께 전세계 제약·바이오 산업 트렌드를 공유했다.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는 싸이티바가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 산하 리서치 기관 롱지튜드와 공동으로 2년마다 발표하는 산업 보고서다. 2021년 시작해, 올해로 3번째를 맞이했다. 전세계 22개국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경영진·전문가 1250명이 ▲공급망 회복력 ▲인적 자원 ▲R&D 생태계 ▲제조 민첩성 ▲정부 정책·규제 ▲지속가능성 등 6개 분야에 대해 평가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가별·항목별 지수를 도출함으로써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쟁력과 트렌드를 볼 수 있다.

올해 전세계 평균 산업 지수는 5.96(10점 만점)으로, 2023년(6.08)보다 소폭 하락했다. 공급망 회복력은 개선된 반면, 인적 자원, 제조 민첩성, 정부 정책·규제는 여전히 업계의 주요 과제로 꼽혔다. 특히 디지털 기술 활용, 정부 정책 지원·규제 혁신 노력, 지속가능성 투자 등이 향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요인으로 지목됐다.

국가별 순위에서 한국은 스위스, 영국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아시아 지역에선 1위로, 싱가포르와 일본이 그 뒤를 이었다. 국내 전문가들은 대외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국의 순위 상승에는 인적 자원과 R&D 생태계의 개선이 큰 역할을 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정부의 바이오 인재 양성 정책과 학계·연구기관·기업 간 협력이 인재 기반을 강화했다고 평가했다. 동시에 정부의 R&D 투자 확대·디지털 기술 통합, CRO·CDMO 협력 증대가 글로벌 임상시험 수주 역량을 높이고 R&D 생태계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싸이티바 최준호 아태지역 총괄 사장은 “한국이 인적 자원과 R&D 생태계 투자를 개선해 2023년 세계순위 12위에서 올해 3위로 도약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성과”라며 “싸이티바 역시 내년 새로 개관하는 이노베이션 허브를 비롯한 다양한 투자를 통해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