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규모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비정규직 내 여성 비율도 최고치를 경신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 역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컸다.
국가데이터처는 22일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8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만명 증가했다.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규모이자,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증가세다.
정규직 근로자는 1384만5천 명으로, 16만명 늘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 모두 증가하면서, 임금근로자 2241만3천명 중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38.2%로, 지난해와 같았다. 이는 2019년 이후 2021년 8월(38.4%)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비정규직이 23만3천명 늘어난 304만4천 명으로, 처음으로 300만 명을 넘어섰다.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다.
송준행 국가데이터처 고용통계과장은 "60대는 인구 증가뿐 아니라 고용률 상승의 영향도 받았다"며 "특히 보건·사회복지업 부문에서 많이 늘었고 정부의 직접 일자리 사업 가운데 노인 일자리 참여 비중이 높은데, 이들 대부분이 비정규직"이라고 설명했다.
30대 비정규직도 6만6천명 증가하며 전체 비정규직의 13.3%를 차지했다. 반면 40대(-10만6천명), 29세 이하(-5만8천명), 50대(-2만5천명)는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업이 21만명, 운수창고업은 3만9천명 등으로 증가했으나, 숙박음식업(-5만8천명), 건설업(-5만1천명), 도소매업(-4만1천명) 등은 감소했다.
내수 영향을 받는 숙박·음식업, 도소매업과 업황 부진이 이어지는 건설업 등이 비정규직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성별로는 여성이 전체 비정규직의 57.4%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최근 3개월 월평균 임금은 208만8천원으로, 지난해보다 4만원 증가했다. 정규직 근로자는 389만6천원으로 10만원 증가했다. 두 집단 모두 2004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다만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차이는 180만8천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양자 간 임금 격차는 2004년 61만6천원 이후 계속해서 벌어지는 추세다.
송준행 과장은 "비정규직 안에는 시간제 근로자가 상당수 포함돼 있다"며 "이들은 일반 근로자보다 일하는 시간이 적어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고, 이로 인해 비정규직 전체 평균 임금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