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여성신문) 장봉현 기자 = 전남 광양시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한 가운데 21일 산업부가 현지 실사를 벌였다.
현지 실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실사위원 21명이 참석해 진행됐다.
실사단은 광양국가산단의 주요 철강기업인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대성에스엔엠을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기업과 지자체 간담회를 통해 경영 애로와 지역의 어려움을 청취했다.
광양은 생산의 88.5%, 수출의 97.6%, 고용의 9.7%를 철강산업에 의존하는 등 전국 최고 수준의 산업 편중 지역이다.
최근 글로벌 공급과잉, 미국의 관세 압박, 중국산 저가재 유입, 내수 부진 등으로 철강 제품 수요가 급감하면서 지역 산업 전반이 위축되고 있다.
특히 중소 협력업체들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급격히 하락하고 고용감소와 청년층 인구 유출로 지역경제 침체가 가속화하고 있다.
전남도와 광양시는 이날 현지 실사에서 철강산업의 구조적 위기 상황을 설명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조속한 지정을 강력 요청했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에 지정되면 국가와 지자체는 주된 산업에 대해 지정 기간 2년 동안 자금·융자 등 금융·재정 지원, 연구개발과 성과 사업화 지원, 국내 판매, 수출 지원과 경영·기술·회계 관련 자문 등을 지원한다.
재직 노동자의 교육훈련과 실직자·퇴직자의 재취업교육 등 고용안정을 지원할 수 있고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비율 우대,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우대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김기홍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광양은 국가 철강 생산의 3분의 1 이상을 담당하는 핵심 산업 거점이지만 글로벌 경쟁 심화와 원자재 가격 변동, 고금리 등 복합 위기에 직면했다"며 "이번 현지 실사를 계기로 정부가 지역 위기 상황을 면밀히 파악해 반드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주길 강력히 요청한다"고 말했다.
앞서 전남도와 광양시는 지난 9월 산업통상자원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빠르면 오는 11월께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