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치 경신하는 금값에… 금 ETF 한 달 수익률 20% 돌파

신미정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금 현물 가격 온스당 4300달러 돌파
금 ETF 7종 한 달 평균 수익률 20.6%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종로본점에 전시된 금 상품. ⓒ연합뉴스


금값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도 급등하고 있다. 최근 한 달 평균 수익률만 20%를 넘어섰다.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주식이 초강세를 보이는 동시에 안전자산인 금값도 오르는 이례적인 현상이다.

1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금 관련 ETF 7종의 최근 한 달 평균 수익률은 20.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수익률이 가장 높은 것은 'ACE KRX금현물'로 29.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간발의 차이로 'TIGER KRX금현물'(28.9%)가 그다음을 이었다.

이외에도 'SOL 국제금'(18.0%), 'KODEX 금액티브'(17.7%) 등도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금 관련 ETF 가격은 이미 많이 오른 상태지만 개인 투자심리는 여전히 뜨겁다.

지난 13∼17일 개인 투자자 순매수 규모를 살펴보면 'ACE KRX금현물'(1290억원)가 3위, 'TIGER KRX금현물'(990억원)이 5위, 'KODEX 금액티브'(970억원) 6위 등 10위권 내 금 관련 ETF 상품이 3개나 포함됐다.

금 현물 가격은 지난해 3월 온스당 2천달러 수준에서 16일(현지시간) 430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인 4318.75달러를 경신했다.

금리 인하 기조에 각국 중앙은행의 수요 증가,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를 비롯한 전 세계적 정세 불안 등이 맞물리며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주요국의 재정 상태 악화로 채권 신뢰도가 약해진 점도 금 수요 증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시장에서는 금값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본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은 "금 가격은 한 번 상승하면 쉽사리 상승세가 꺼지지 않는 추세를 보인다"며 "현재 금의 상승세는 과열 국면이더라도 10∼12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와 금 ETF로의 자금 유입, 중앙은행 매수세 지속 등으로 금 가격은 큰 폭의 조정 없이 추가로 상승할 것"이라고 했다.

JP모건과 골드만삭스 등 주요 투자은행(IB)들은 금 가격이 온스당 480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