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간 병원 56곳서 졸피뎀 9332정 모았다... ‘마약류 의료쇼핑’ 심각

이하나 기자 TALK
입력
수정 2025.10.09. 오전 7:09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전진숙 의원 “처방시스템과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연계 점검 필요”
ⓒ 연합뉴스


수면진정제 졸피뎀 , ADHD 치료제 ( 메틸페니데이트 ), 식욕억제제 ( 펜터민 등 ) 등 주요 마약류 의약품을 처방받은 일부 환자들이 여러 병원을 돌며 대량으로 약을 처방받는 이른바 ' 마약 쇼핑 ' 행태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의원(더불어민주당 , 광주 북구을)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2024 년 7 월부터 2025 년 6 월까지 마약류 의약품 처방현황 '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 주요 마약류 성분의 상위 20 명은 평균 수천 정에 이르는 약을 처방받으며 , 대부분 복수의 의료기관을 이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ADHD 치료제( 메틸페니데이트) 상위 20명은 총 32개의료기관을 방문해 11만2059정을 , 식욕억제제(펜터민 등)는 60개 기관에서 11만1889정을 처방받았다. 1 인당 평균 처방량은 모두 5천정을 넘어섰다 . 졸피뎀은 197개 의료기관을 통해 총 7만4694정을 처방받았다.

세 성분 가운데 졸피뎀에 대한 의료 쇼핑이 가장 두드러졌다. 졸피뎀을 처방받기 위해 10개소 이상 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가 5명, 3개소 이상을 방문한 환자는 13명에 달했다. 또한 식욕억제제의 경우에도 10개소 이상 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가 1명 있었다.

특히 졸피뎀을 처방받은 상위 20명 가운데 한 환자는 56개 병원을 오가며 9332정을 처방받았다 . 마약류 성분 처방 상위 5명의 처방 내역을 살펴보면 졸피뎀 환자가 4명 , 식욕억제제 환자가 1명으로, 대부분이 여러 병원을 반복 방문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광주 북구을)이 4일 윤석열 정부를 향해 "여성가족부 장관 조속히 임명할 것"을 주문했다.  ⓒ전진숙 의원실


전진숙 의원은 "특히 졸피뎀·식욕억제제·ADHD 치료제는 의존성과 부작용이 높은 마약류 성분인 만큼 , 이러한 반복·과다 처방이 단순한 치료 목적을 넘어서는지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6월부터 시행된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 개정안에 따라 의료기관 및 약국에서 마약류를 처방하는 경우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연계가 가능해진 만큼 , 이 제도가 의료현장에서 제대로 운영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한편 전진숙 의원은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을 개정해 의료기관 및 약국에서 처방에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의 연계할 수 있고 , 행정적·기술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한 바 있다 .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