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가 정권 교체 이후 압도적으로 높아졌다.
〈시사IN〉은 한국갤럽과 함께 진행한 ‘2025년 신뢰도 조사’에서 시민들에게 ‘이재명 정부의 경제정책을 얼마나 신뢰하는지’ 물었다. 응답자의 절반을 훌쩍 넘는 59.0%가 ‘신뢰한다’고 답했다. 그중 28.4%가 ‘매우 신뢰한다’로, 신뢰 수준도 비교적 강한 편이다.
지난해 추석 직전 조사에서 당시 윤석열 정부의 경제정책 신뢰도는 28.6%에 머물렀다. 28.6% 가운데서도 ‘매우 신뢰한다’는 7.6%에 그쳤다. 12·3 쿠데타 및 수개월 동안 끈덕지게 지속된 내란 정국 이후 출범한 새 정부의 경제정책 신뢰도가 전임 정부의 마지막 해보다 두 배 이상 높아진 것은 일단 긍정적 현상이다.
연령 및 지역별로 봐도, 대체로 과반의 응답자가 이재명 정부의 경제정책을 신뢰했다. 연령별로 보면, 70세 이상(45.6%)을 제외한 모든 세대의 신뢰도가 50%를 넘겼다. 40대(74.6%)와 50대(73.6%)의 신뢰도가 70%대로 가장 높았다. 18~29세(51.7%), 30대(52.8%), 60대(50.8%) 신뢰도의 경우, 절반을 넘겼으나 평균(59.0%)보다 6~8%포인트 낮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45.5%)과 부산·울산·경남(49.2%) 이외 모든 지역의 신뢰도가 50% 후반대 이상으로 특히 광주·전라는 80.9%에 달했다. 지난해 윤석열 정부의 경제정책 신뢰도는 대구·경북(52.9%)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1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이었다.
중도층 신뢰도 세 배 가까이 올라
직업별로는 노동자 계층인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의 신뢰도가 각각 65.4%와 66.4%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의 20.6%(블루칼라), 19.5%(화이트칼라)에 비해 3배 이상 치솟았다. 자영업 부문의 경제정책 신뢰도도 지난해 30.0%에서 59.6%로 두 배 가까이 올랐다.
지지 정당이나 정치 성향별 조사가 경제정책 신뢰도에선 무의미할 수 있다. 정치적 지지가 경제정책에 대한 지지로 그대로 반영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정치 성향에서 중도층의 신뢰도가 지난해 23.7%에서 63.2%로 세 배 가까이 오른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한·미, 한·일 정상회담 등 외교·통상 이슈, 중대재해처벌법·노란봉투법 등 노동 이슈에 대한 이재명 정부의 대응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도 물었다. 응답자가 0점(‘전혀 신뢰 않음’)에서 10점(‘매우 신뢰’) 사이를 선택하도록 한 뒤 평점을 냈다(‘보통’은 5점).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통상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외교·통상에 대한 평균 점수는 5.20(10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중대재해 발생 시 경영 책임자를 처벌하는 중대재해처벌법과 파업에 대한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노란봉투법 등 노동 이슈에 대한 이재명 정부의 대응 평가 점수는 비교적 낮은 4.67점으로 나타났다.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 등 노동 계층이 각각 5.02점과 5.39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를 줬으나 자영업(4.51점), 무직·기타(3.83점), 학생(3.42점), 농·임·어업(3.23점) 부문에서는 비판적 평가가 많았다. ‘노동 존중’을 표방한 이재명 정부의 친노동 정책이 ‘현재 임금노동에 종사하는 계층’으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으나, 이외 계층에겐 물가상승, 기업활동 위축 등을 우려하게 하는 듯하다. 보수 스피커들의 영향력이 만만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조사했다
조사 의뢰: 〈시사IN〉
조사 기관: 한국갤럽조사연구소
조사 일시: 2025년 9월14~16일
조사 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조사 방법: 가구유선전화 RDD 및 휴대전화 RDD를 병행한 전화면접조사(CATI) - Dual Frame
응답률: 7.9%(무선 8.6%, 유선 5.1%)
가중치 산출 및 적용: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치 부여(셀가중) (2025년 8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표본 크기: 1012명
표본 오차: ±3.1%포인트 (95% 신뢰수준)
※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