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위에도 학교 옆에도, 안전한 곳이 없다 [포토IN]

이명익 기자
입력
수정 2025.04.21. 오전 7:52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시사IN〉 사진팀 기자들이 포착한 대한민국의 오늘. 포토저널리즘의 힘을 이 사진에서 느껴보세요.
4월14일 오후 경기도 광명시 신안산선 복선전철 5-2 공구 현장.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도로 50m가량이 붕괴되었다. ©시사IN 이명익


4월11일 오후 3시13분 경기도 광명시 신안산선 복선전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붕괴되었다. 시공사인 포스코이앤씨가 공사를 맡아 진행하던 곳이다.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상부 도로 50m가량이 내려앉았다.

사고 전 여러 징후가 포착되면서 사고 당일 0시30분부터 교통 통제가 내려진 상태였다. 오전 7시에는 공사 작업중지 권고도 내려졌지만 강제 사항은 아니었다. 사고 발생 후 현장 노동자 18명 중 2명은 대피하지 못했다. 굴착기 기사인 20대 A씨는 실종 13시간 만에 극적으로 구조되었지만 포스코이앤씨 소속 노동자인 50대 B씨는 4월16일 오후 8시11분쯤 숨진 채 발견되었다.

신안산선은 서울 여의도와 경기 안산·시흥을 잇는 복선전철이다. 사고 이후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입수한 ‘환경영향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이 공사 구간은 6년 전 관련 기관에서 지반 침하 우려를 제기한 곳이다. 지난해 4분기에는 이곳에서 하루 평균 1600t의 지하수를 빼내며 공사를 이어온 것으로 확인됐다. 하루 평균 300t 이상의 유출지하수가 발생하는 경우 신고하게 되어 있는 지하수법이 있음에도, 광명시는 포스코이앤씨로부터 이번 공사와 관련해 단 한 번도 유출 지하수가 있다는 신고를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공사 현장 인근에는 초등학교와 아파트, 상가 등 생활시설이 밀집해 있다. 광명시는 사고 현장 인근 아파트와 마을에서 추천한 주민대표들로 구성된 ‘신안산선 대책위원회’를 꾸리기로 했다.

4월14일 오후 경기도 광명시 신안산선 복선전철 5-2 공구 현장.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되었다. ©시사IN 이명익
4월14일 오후 인근 아파트 상가에서 바라본 경기도 광명시 신안산선 복선전철 5-2 공구 현장 모습. ©시사IN 이명익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시사IN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