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소유가 음주 후 비행기 탑승 논란으로 한차례 곤욕을 치렀다.
최근 불거진 이번 사건은 '인종 차별' 논란으로 시작했다. 소유는 "미국 국적기에 탑승해 한국어 가능한 승무원을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불쾌한 일을 겪었다"고 토로했다.
하지만 이후 온라인 커뮤니티에 "소유가 만취 상태였다"는 목겸담이 등장했다. 소유가 취한 상태로 비행기에 탑승해 벌어진 사안일 뿐 인종차별은 없었다는 주장이다.
소유는 목격담에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비행기 탑승 전 라운지에서 식사와 함께 나오는 주류를 소량으로 마신 것"이라며 "탑승 과정에서 어떤 문제나 제재도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그렇다면 비행기에서의 '적정 음주량'은 어느 정도일까. 안전한 비행기 탑승과 여행을 위한 주류 섭취 기준을 들여다본다.
혈중알코올농도 빨리 상승…평소보다 훨씬 적게 마셔야
비행기 안은 기압과 산소 농도가 낮다. 이런 환경 때문에 술을 마셨을 때 혈중알코올농도가 빨리 상승한다. 평소 자신의 주량보다 더 적은 양의 술을 마셔도 취하거나 두통‧어지럼증 등을 느낄 수 있다.
항공의학협회와 항공사 안전 매뉴얼에 따르면 장거리 여행을 할 때는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다만 소량의 음주 섭취는 가능하다. 남성은 와인 1잔(150mL) 또는 맥주 1캔(330mL) 이하, 여성은 와인 반 잔이나 1잔 이하가 적당하다. 물론 적정 음주량은 개인의 평소 체질이나 주량, 탑승 당시 피로도에 따라 조금 달라질 수 있다.
술을 안전하게 마시려면
비행기 탑승 전이나 후에 술을 마실 때는 물을 충분히 마셔야 한다. 몸에 수분이 부족하면 혈중알코올농도가 더 올라간다. 같은 양의 술을 마시더라도 물을 안 마시면 더 빨리 취하고, 알코올을 분해하는 간에도 무리가 된다.
탄산주나 칵테일은 피하는 것이 현명하다. 이런 술을 흡수 속도를 높여 더 빨리 취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비행 중 숙면하기 위해 수면제를 복용했다면 절대 술을 마시면 안 된다. 수면제와 항우울제 등을 술과 함께 먹으면 산소포화도가 떨어져 위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