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가 경험하는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전통적인 치료나 생물학적 요인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요인이 암의 예후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망 위험 최대 34% 증가… 생물학적·심리사회적 경로로 암 예후에 영향 가능성
캐나다 토론토대 테머티 의대 연구진은 2024년 9월까지 발표된 암 환자 대상 학술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했다. 초기 검색된 148건 가운데 총 163만5051명(평균 연령 63세)이 포함된 16건의 연구를 선정했고, 이 중 13건을 통합 메타분석에 반영했다. 연구는 캐나다, 영국, 핀란드, 프랑스, 아일랜드, 일본, 미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진행됐으며, 여러 종류의 암을 포괄했다.
분석 결과, 외로움은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34%, 암 자체로 인한 사망 위험을 11%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용된 결과 지표가 달라 분석에서 제외된 3건의 연구 역시 사회적 고립과 사망 위험 증가 사이의 강한 연관성을 보고해, 결과의 일관성을 뒷받침했다.
연구진은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은 생물학적·심리적·행동적 메커니즘을 통해 암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생물학적으로 외로움이 유발하는 스트레스 반응은 면역 조절 기능을 교란하고 염증 반응을 높여 질병 진행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심리사회적으로 암 치료 과정에서의 고립감, 치료 흔적에 대한 낙인, 피로와 인지 기능 저하 같은 치료 부작용이 사회활동 참여를 제한하고, 환자의 정체성 및 사회적 연결망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치료에 심리사회적 개입 포함해야
연구진은 이번 분석이 관찰 연구에 기반하고 있어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했다. 연구 설계나 방법론의 차이, 잠재적인 교란 요인 통제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건강 악화 간의 연관성을 입증한 기존 연구와 일치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자평했다.
연구진은 "이번 결과가 후속 연구에서도 재확인된다면, 암 치료 과정에 정기적인 심리사회적 평가와 맞춤형 개입을 포함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율 및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 종양학(BMJ Oncology)》에 'Impact of loneliness on cancer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자주 묻는 질문]
Q1. 왜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암 환자의 사망 위험을 높이나요?
외로움은 스트레스 반응을 촉진해 면역 조절 기능을 약화시키고 염증 반응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의 고립감, 피로, 낙인 등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사회적 참여를 줄여 회복과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Q2.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은 동일한 개념인가요?
아닙니다. 외로움은 주관적으로 느끼는 정서적 단절감을 의미하고, 사회적 고립은 객관적으로 사회적 관계나 네트워크가 부족한 상태를 말합니다. 두 가지는 서로 겹치기도 하지만 독립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모두 암 환자의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Q3. 이 결과가 실제 암 치료 현장에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연구진은 심리사회적 개입이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암 치료 과정에서 심리상담,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 공동체 활동 등 비의료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