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연휴에 신나서 과음했다면? 이번 건강검진에 '이 검사' 추가해야

장자원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 “평소보다 음주량 늘었다면 위암 가능성 높아져”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에 따르면, 급격한 음주량 변화는 위암 발병 위험을 크게 높인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모처럼 찾아온 황금연휴, 신나는 마음에 평소보다 과음했다면 다음 건강검진에는 위 내시경을 추가하는 것이 좋겠다.

비음주자가 술을 마시기 시작하거나, 기존 음주자가 섭취량을 늘리는 등 음주습관이 바뀌면 위암 발생 위험이 큰 폭으로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연구팀이 약 31만 명의 알코올 섭취량을 분석해 내린 결론이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를 토대로 40세 이상 성인 31만192명을 하루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경도(남성 15g·여성 7.5g 미만) △중등도(남성 15~29.9g·여성 7.5~14.9g) △고용량(남성 30g·여성 15g 이상)으로 분류하고, 평균 12년간 추적 관찰했다.

관찰 결과 현재 알코올 섭취량과 무관하게, 음주량이 증가한 사람의 위암 위험이 눈에 띄게 늘었다. 반대로 금주나 절주는 발병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예를 들어, 비음주자가 새롭게 음주를 시작했다면 음주량이 적은 경우라도 위암 위험이 약 14% 증가했다. 중등도의 음주자가 경도 수준으로 음주량을 줄이면 거꾸로 발병 위험이 20% 가량 줄었다.

이같은 양상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남성은 기존의 음주량을 유지하면 비음주자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약 10% 높아졌고, 섭취량을 늘린 집단은 비음주자 대비 20% 가까이 높아졌다. 음주량 변화와 위암 발병 위험의 연관성이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난 셈이다.

반면 여성은 상대적으로 음주량과 위암 발병 위험의 연관성이 낮게 나타났다. 단, 비음주에서 고용량 음주로 섭취량이 갑자기 많아지면 위암 위험이 약 2배 증가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음주량의 많고 적음 뿐만 아니라 최근의 변화 양상이 위함 위험과 연관이 깊음을 확인했다"며 "위암 예방을 위해선 절제 혹은 환전히 금주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내시경으로 조기위암을 제거한 적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흡연자 등 고위험군은 금주가 필수"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암학회의 공식 학술지 《암 연구와 치료(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