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부총리는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협상이 진행 중이라 밝힐 수 없다"며 "한국이 금융 안전장치를 필요로 할지 여부는 협정 구조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통화스와프가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어느 규모로 할지는 전적으로 협정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며 "전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고 소규모로 체결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언은 다음 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앞두고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각각 양자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구 부총리는 "정부는 다음 주 APEC 정상회의에서 협정을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이를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미국은 한국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반면 일본산 자동차에는 15%만 적용돼서 한국 완성차업체들이 불리한 위치에 놓여 있다. 이에 대해 구 부총리는 "한국은 이러한 불리한 점을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측에 여러 차례 제기했지만 미국은 이 사안에 대해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며 "한국 협상단은 계속해서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최근의 원화 약세는 협정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다는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한다"며 "자동차 관세 문제가 해결되면 이러한 불안도 완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원화 약세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인위적 조치라는 미국 내 일부 추측에 "미 재무부는 한국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이에 대해 어떠한 우려도 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이 "한국 외환시장의 어려움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이에 어떻게 대응할지 내부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원화는 지난 4월 달러당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한 뒤 일시적으로 반등했으나 최근 다시 약세로 돌아섰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1429.8원에 마감했다.
구 부총리는 한국 정부가 원화 24시간 거래 시스템 도입 계획도 앞당기고 있으며 가능한 이를 빨리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외환시장 접근성을 높여서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의 핵심 전제조건이다.